2013년 부터 삼성에게는 새로운 고민이 생겨났습니다. 삼성전자의 매출을 견인하고 성장세를 이끌어온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기에 빠져들고 있다는 분석들이 연이어 나왔기 때문입니다.
특히 삼성전자 매출이익의 75%를 스마트폰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시장변화는 단순한 개별 상품별 시장변화 상황이 아니라 삼성전자 기업자체에도 큰 데미지를 줄수 있는 변화이기 때문에 위기감이 커져있던 상황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신규사업(* 삼성식 표현으로는 신수종 사업의 발굴)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결국 삼성전자의 2014년 실적을 좌지우지할 상품은 3개로 귀결 되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 & 태블릿 & TV 입니다. 이 3개의 상품군에서 어떠한 결과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삼성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스마트폰을 대표하는 핵심 제품인 “갤럭시S5″가 출시되었지만 예상보다는 좋은 반응이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p4eV8XezaZM/UyULCpE9bsI/AAAAAAAABtY/tXWKqKxVqxE/s144-c-o/%2525EC%252582%2525BC%2525EC%252584%2525B1%2525EC%2525A0%252584%2525EC%25259E%2525902014%2525EB%252585%252584%2525ED%25258C%252590%2525EB%2525A7%2525A4%2525EB%25259F%252589%2525EB%2525AA%2525A9%2525ED%252591%25259C.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1207019300613826″ caption=”” type=”image” alt=”삼성전자2014년판매량목표.jpg” ]
과연 삼성은 2014년 목표를 달성하고 급격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까요? 다시한번 삼성의 2014년 목표치를 확인해 보고 삼성이 이러한 목표를 이뤄갈수 있을지 1분기가 지난시점에서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스마트폰 :
2013년 4분기 삼성 스마트폰은 처음으로 판매량 감소를 보이며 8,600만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준을 단순하게 산술적으로 계산해 보면 8,600만대 X 4 = 3억 4400만대 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2014년 삼성이 목표로하고 있는 4억대 판매량보다는 많이 낮은 수치라고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8oy7dDXGmc4/UyUPXLAlfVI/AAAAAAAABt4/mDRc-OmxaM4/s144-c-o/%2525EC%252582%2525BC%2525EC%252584%2525B1%2525EC%25258A%2525A4%2525EB%2525A7%252588%2525ED%25258A%2525B8%2525ED%25258F%2525B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1211770052967762″ caption=”” type=”image” alt=”삼성스마트폰.jpg” ]
현재 1분기 집계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기는 하지만 국내 통신사 영업정지 , 갤럭시S5의 좋지 않은 시장반응 , 애플과의 특허소송 , 애플등 주요경쟁사의 신제품출시등 호재보다는 악재가 좀 더 많은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2014년 삼성이 세운 4억대 판매목표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태블릿 :
애플이 완벽하게 시장을 장악해 왔다고 할수 있는 태블릿 시장에서 삼성은 급격하게 판매량을 늘려왔습니다. 6500만대의 판매량을 목표로 1위를 달성한다는 야심찬 목표이지만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lt4fnynz9CM/UyUPYGM-h0I/AAAAAAAABuE/I4ILeY5-268/s144-c-o/%2525EC%252582%2525BC%2525EC%252584%2525B1%2525ED%252583%25259C%2525EB%2525B8%252594%2525EB%2525A6%2525BF.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1211785942632258″ caption=”” type=”image” alt=”삼성태블릿.jpg” ]
정체기에 진입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스마트폰 시장과 다르게 연평균 15%이상의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10인치 이상급들은 더 높은 시장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TV :
TV 시장의 경우는 공격적인 삼성이 이례적으로 보수적인 성장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년대비 500만대 증가한 수준으로 목표를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6oHqlnj94VI/UyUPXJj8npI/AAAAAAAABt8/nortQCZdIWY/s144-c-o/%2525EC%252582%2525BC%2525EC%252584%2525B1UHDTV.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1211769664413330″ caption=”” type=”image” alt=”삼성UHDTV.jpg” ]
소치올림픽과 브라질 월드컵등의 호재가 있기는 하지만 UHD TV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과 중국 제조사들의 저가공세가 이어지기 때문에 시장점유율보다는 이익율에 중심을 둔 운영전략과 목표가 아닌가 합니다.
따라서 무난하게 달성 가능한 목표치를 제시했다는 느낌이며 현재까지는 소니에게 밀리고 있던 UHD TV 시장 점유율을 상당부분 회복하며 목표를 향해 순항중이라는 판단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