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PC의 경우 발열이 발생하는 주요 위치에 대해서 거점형 쿨링 솔루션 개념을 적용합니다.
즉 CPU에는 CPU 쿨러 , 그래픽카드에는 그래픽카드 쿨러 , 메인보드 전원부에는 히트싱크가 발열을 시스템 내부로 뿜어내면 PC 케이스 의 전면 흡기, 후면배기 팬 순환구조로 서서히 시스템내부 발열을 외부로 돌려 발열을 낮추는 구조입니다.
발열 거점에 위치한 쿨링솔루션이 주 쿨링 솔루션으로 만약 거점 쿨링 솔루션이 동작하지 않으면 발열로 인해서 시스템이 정상동작 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케이스의 팬은 보조적인 역할수준이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고성능 연산 그래픽카드를 보통 4장 또는 8장 이상 장착하여 사용하는 GPU 서버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쿨링솔루션이 적용되기 힘듭니다.
엄청난 발열이 발생되므로 보다 직접적이고 빠르고 강하게 내부의 발열을 외부로 배출해야만 발열억제가 가능하게 됩니다.
ASUS의 4U GPU 서버 베어본 제품인 ESC8000 G4 의 쿨링솔루션은 이러한 GPU 서버 쿨링 솔루션의 진화된 강화버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ASUS에서는 에어터널 쿨링 설계라는 명칭으로 이러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ESC8000 G4 의 앞쪽에는 에어플로우의 흐름을 막지 않도록 구성부품이 대부분 낮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2개의 CPU 소켓은 전용 설계된 히트싱크와 CPU 쿨러의 위치가 상단이 아니라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CPU 소켓을 사이에 두고 24개의 메모리 슬롯이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10개의 핫스왑지원팬이 2단 배열되어 있습니다. 기본 1열 구성 5개의 팬 또는 2열 10개의 팬를 선택할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장착하는 그래픽카드의 발열강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선택하는 구조입니다.
끝부분에는 최대 8개의 그래픽카드가 장착가능한데 블로워 쿨러가 장착된 그래픽카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블로워 쿨러는 팬이 외부로 에어플로우를 방출하는 배기형인 일반 게임용 그래픽카드와 다르게 에어플로우를 내부로 흡기하여 슬롯부분으로 방출하는 구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상단에서 본 구조로 보면 ESC8000 G4의 에어터널 쿨링설계 방식을 이해하기 힘든데 3D 구성 형태로 보면 보다 쉽게 이해가 되는 방식입니다. 4U 서버의 크기가 커서 상단 높이차가 있다는 특성을 적극 반영한 설계라고 하겠습니다.
하단쪽은 CPU 히트싱크와 연계된 2개의 팬이 에어플로우를 흡기하여 그래픽카드의 하단면으로 배기시켜줍니다. 그래픽카드 슬롯의 접촉 하단면은 상대적으로 발열이 낮은편이기 때문에 CPU 쿨러를 통한 에어플로우 흐름으로도 충분한 발열제어가 된다는 개념입니다.
GPU와 인접하여 발열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단 부는 5개 또는 10개의 핫스왑 대형팬이 강력한 에어플로우를 형성하여 후면으로 배출합니다.
즉 CPU 쿨러 , 케이스에 장착된 10개의 대형팬 그리고 블로워형 그래픽카드의 팬에서 배기 되는 방향을 모두 1개의 방향으로 일치시키고 상단과 하단 모두에 에어플로우 흡배기 상황을 만들어 매우 효과적인 발열제어를 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입니다.
중간의 케이블등으로 인한 와류형성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 플랫형으로 케이블 쉴딩 마감을 하는등 디테일도 세심하게 신경썼습니다.
장시간에 걸쳐 AI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GPU 서버의 특성에 최적화된 쿨링설계를 제공하는 개념이라고 하겠습니다. 보다 상세한 ASUS ESC8000 G4의 정보는 상기 링크를 참조해보시면 되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