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LG는 8.5%에서 14%로 삼성은 2.3%에서 10.5%로 크게 시장점유율을 높였습니다. 월풀과 GE는 여전히 1,2위를 지키고 있지만 중요한점은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월풀이나 GE와 다르게 LG와 삼성은 글로벌시장에서 통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Read more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WebOS 팀의 당초 개발방향과 다르게 LG는 인수직후 기존 LG TV OS플랫폼과 경쟁사인 삼성 OS 플랫폼을 섞은 인터페이스를 WebOS에 적용할 것으로 요구했다는 것입니다. Read more
CES 2014에서 CES 혁신상을 수상했던 LG 웹OS(WebOS) 스마트TV가 국내에 출시되었습니다. 55인치급이 340만원이며 47인치급이 205만원대 라고 합니다. 마치 스마트폰에서 앱을 사용하듯 쉽게 TV를 제어하고 사용할수 있도록 한 독자 OS 탑재 TV라고 합니다. LG가 독자적으로 연구개발하여 가전 시장을 위한 독자 OS를... Read more
가정의 필수품이라고 할수 있는 TV, TV는 가전분야에서 소비자의 생활공간인 거실을 차지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상징성이 강한 제품이라고 하겠습니다. 수익성이 좀 떨어지더라도 매일 생활하는 거실에 자사 브랜드 로고가 부착된 가전제품이 중요공간을 점유하고 미래의 고객들(어린이들)에게 까지 브랜드를 각인시킬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세계 주... Read more
2013년 10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일본 가전업계의 백기투항 선언이 나왔습니다. LCD와 경쟁하며 PDP를 주력으로 육성해왔던 일본 가전업계의 마지막 보루였던 파나소닉(Panasonic)의 PDP 시장 철수선언이 나왔던 것입니다. 2008년 히타치 PDP 사업 철수 선언 , 2009년 파이오니아 PDP 사업 철수 선언등에 이어 마지막까지... Read more
LG U+가 2013년 10월 논란을 불러오는 선언을 합니다. 바로 국내 이동통신사중 처음으로 중국 화웨이(Huawei)의 통신장비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한것입니다. 이러한 선언은 곧 의외의 방향인 정치적인 논란 으로 번지게 됩니다. 미국 상원의 정보위원장과 외교위원장이 미국 연방정부의 국방장관,국무장관등에게 서한을 보냈는데 바로 LG U+... Read more
삼성TV는 세계시장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시장에서 만큼은 초라하다 못해 점유율을 논하는것 자체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0%대의 저조한 성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한국 가전업체중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LG가 2% 남짓한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것 과 비교해도 이해하기 힘든 수준입니다. 그저 간단하게 일본은 갈라파... Read more
LCD와 PDP의 표준경쟁은 결국 LCD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때 양쪽 모두 밸런스 있게 집중한 삼성과 LG는 성공적으로 TV시장을 장악했고 일본 가전업체들을 따돌리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반면 PDP에 집중했던 일본 업체들의 경우는 큰 데미지를 받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브라운관 TV에서 차세대 LCD 와 PDP 로 세대전환이... Read more
G2의 초반 마케팅이 실패로 돌아가기는 했지만 LG전자가 G2의 출시를 계기로 마케팅을 강화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G2의 경우도 스마트폰 사업부가 먼저 PR의 포문을 연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사업부쪽에서 관련 PR 자료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G2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스마트폰 서비스정책에 대한 부분도 같이 움직이는 것입니다. 즉... Read more
국내 1,2위 가전업체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삼성과 LG가 냉장고와 관련하여 600억원대의 소송전을 벌였다는 사실을 아는 분들은 많지 않을것 같습니다. 엄청난 규모의 이 소송전이 조용한 합의로 막을 내렸다고 합니다. 과연 삼성과 LG는 왜 600억원대의 엄청난 규모 소송전을 벌였을까요? 삼성 또는 LG가 특별한 특허기술을 침해라도... Read more
LG전자는 자사의 사업권역을 크게 4개 분야로 나누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경우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분야(MC)에 속해 있습니다. 3분기 매출은 3조 454억원을 발생하여 4개 분야중 2번째로 높은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Read more
터치스크린 원가에서 약 44%의 비중인 강화유리는 미국의 코닝이 시장점유율 90%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또 2번째로 높은 원가비중인 ITO필름의 경우는 일본의 니토덴코가 67%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Read more
이점 하나로 선택의 고민은 끝났는데 즉 6인치같지 않은 6인치 스마트폰의 느낌때문에 선택된것입니다. 과연 커브드 스마트폰이 가지는 장점이 뭘까? 영화를 볼때 느끼는 몰입감, 휘어져 있어 남들에게 자랑하기 좋은점(?).... 답을 찾을수 없었는데 해답을 찾은 느낌이였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