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제조사들은 매년 해가 바뀌면 다음년도 신형 버전이라는 의미로 “2015년형 All New~”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동일모델의 성능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것은 고급 세단은 물론 준준형차들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현대차의 경우는 엔트리 모델인 엑센트 디젤의 경우 2015년형 모델에는 기존 변속기보다 성능이 향상된 7단 DCT 변속기를 채용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경우를 들수가 있습니다.
자동차에서 2015년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새로운 버전 문구가 PC부품인 메인보드에서는 리비전(Revision) 용어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메인보드의 내부적인 구성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자동차와 다르게 비전문가들은 쉽게 확인할수 없습니다.
따라서 리비전(Revision)이 올라가면 마치 자동차 처럼 더 좋아졌을 것이라고 단정짓기 쉽습니다. 오늘은 국내에서 인기가 높은 Gigabyte 사의 메인보드 리비전 이슈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리비전업데이트로 스펙이 오히려 다운? GA-B85M-HD3 메인보드 리비전이슈
이슈라는 표현처럼 성능이 더 좋아진 변경사항 즉 신 리비전(Revision) 이라면 이슈가 되지 않을것 입니다. 그런데 상위 리비전으로 업데이트 한 이후 오히려 스펙이 다운되었기 때문에 이슈가 된다고 하겠습니다.
리비전 이슈에 언급되는 모델은 보급형 라인업(즉 낮은가격)에 속한 B85M 모델들로 낮은 가격으로 인해 판매량이 상당한 모델들이기 때문에 사용자도 많습니다. 따라서 구매전 관련 내용을 확인하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divider]
리비전 이슈 발생 모델 :
Gigabyte GA-B85M-HD3 /Gigabyte GA-B85M-D2V
해외 IT미디어 관련 이슈 참조 페이지 링크 (hardware.info)
[divider]
먼저 이슈내용을 간단하게 결론부터 정리하면 기존에 국내에서 판매되던 리비전 1.X등의 모델에서 상위 리비전인 3.0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오히려 스펙이 다운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점은 이러한 스펙 변경사항을 소비자가 사전에 인지하고 구매할수 없는 상황이 핵심적인 문제가 되겠습니다.
1) 리비전 1.X 버전과 현재 판매중인 신형(?) 리비전 3.0의 차이점은?
먼저 GA-B85M-HD3 메인보드 하단의 비교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YNyTruLuUjo/VLYSbbUJsjI/AAAAAAAAGXc/CDmFjKFdUOs/s144-c-o/B85M-HD3%252520%2525EB%2525A6%2525AC%2525EB%2525B9%252584%2525EC%2525A0%2525841.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07345332786″ caption=”B85M-HD3 리비전1.0.jpg” type=”image” alt=”B85M-HD3 리비전1.0.jpg” ]
상기 이미지는 GA-B85M-HD3메인보드 리비전 1.0 모델의 메인보드 사진입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agvNk2P4OOs/VLYSbnn9QqI/AAAAAAAAGYI/KFP-JxR3l1Q/s144-c-o/B85M-HD3%252520%2525EB%2525A6%2525AC%2525EB%2525B9%252584%2525EC%2525A0%2525843.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10649629346″ caption=”B85M-HD3 리비전3.0.jpg” type=”image” alt=”B85M-HD3 리비전3.0.jpg” ]
그리고 상단 이미지는 최근 변경된 GA-B85M-HD3메인보드 리비전 3.0 모델의 메인보드 사진입니다. 숨은 그림찾기를 잘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 중요한 변경사항 부분을 비교한 사진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7rrLqN9CGow/VLYSbYrCg0I/AAAAAAAAGX8/IFP5mnR5fX8/s144-c-o/B85M-HD3-%2525EB%2525A6%2525AC%2525EB%2525B9%252584%2525EC%2525A0%252584%2525EC%25259D%2525B4%2525EC%25258A%25258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06636024642″ caption=”” type=”image” alt=”B85M-HD3-리비전이슈.jpg” ]
상단 적색박스와 화살표 부분을 보시면 2개 리비전의 차이를 확연하게 인지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상기 부품은 CPU등 주요 핵심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관련 부품들입니다.
새로운 신형 3.0 리비전의 경우는 이러한 부품들이 제외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즉 원가절감을 위해서 전원부 부품을 줄여 다운스펙을 적용한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전원부의 개념을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이렇습니다.
최대속도가 100Km인 자동차와 최대속도가 120Km인 자동차 2대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2대의 자동차가 똑같이 100Km로 달리면 어떨까요?
당연히 120Km인 자동차가 훨씬 안정적으로 운전이 될 것이며 최대속도 극한까지 달리는 자동차(최대속도가 100Km인 자동차)는 많은 무리가 발생할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와 비슷하게 메인보드에서 전원부는 안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품이라고 하겠습니다.
사실 가격인상요인이 있는데 스펙을 낮추고 가격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문제가 될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다운스펙에 대한 변화를 소비자가 인지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 진정한 문제는 소비자가 리비전을 구분하여 선택 구매할수 없도록 한점이 핵심
먼저 상기 모델의 온라인 판매 정보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팅 관련 부품들 구매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가격비교사이트인 다나와(Danawa)와 네이버 지식쇼핑의 상품 등록정보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점검기준 : 2015년 1월 14일)
[pe2-image src=”http://lh3.ggpht.com/-o68QDfvsvfU/VLYSdcFHReI/AAAAAAAAGX0/xijHKIrqBv4/s144-c-o/%2525EB%25258B%2525A4%2525EB%252582%252598%2525EC%252599%252580%2525EA%2525B0%252580%2525EA%2525B2%2525A9%2525EB%2525B9%252584%2525EA%2525B5%25259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41910433250″ caption=”” type=”image” alt=”다나와가격비교.jpg” ]
DANAWA GA-B85M-HD3 상품정보
먼저 다나와에서 해당 모델의 정보를 보면 리비전 표시는 표현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박스가 없는 벌크와 해당 모델을 유통하는 유통사들의 정보만 있을 뿐입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oIyrTFSZH0Y/VLYSc-maisI/AAAAAAAAGXo/aM8u8XrBKaY/s144-c-o/%2525EB%252584%2525A4%2525EC%25259D%2525B4%2525EB%2525B2%252584%2525EA%2525B0%252580%2525EA%2525B2%2525A9%2525EB%2525B9%252584%2525EA%2525B5%25259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33997044418″ caption=”” type=”image” alt=”네이버가격비교.jpg” ]
NAVER 지식쇼핑 GA-B85M-HD3 상품정보
다음은 네이버 지식쇼핑에서 해당모델을 점검해 보았습니다. 역시 리비전을 구분하는 표시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상품의 상세 스펙설명에는 이러한 표시가 있을까요?
유통사 별로 각각 다르게 제작하는 상품정보 2개의 제품 스펙 설명을 모두 확인해 보았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qFknmyPCMGc/VLYSeic-BII/AAAAAAAAGX4/bxd5XnNXKhs/s144-c-o/%2525EC%252583%252581%2525ED%252592%252588%2525EC%252584%2525B8%2525EB%2525B6%25258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60800971906″ caption=”” type=”image” alt=”상품세부.jpg” ]
[pe2-image src=”http://lh3.ggpht.com/-LctV8Va9gfk/VLYSfbhbZ8I/AAAAAAAAGYA/u3e_wjWFHsE/s144-c-o/%2525EC%252583%252581%2525ED%252592%252588%2525EC%252584%2525B8%2525EB%2525B6%2525802.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501#6104086676120496066″ caption=”” type=”image” alt=”상품세부2.jpg” ]
중요한 변화가 있음에도 제품스펙 어디에도 이러한 리비전 표시는 표현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지 점선 적색박스의 표기처럼 “제조사의 사정에 따라 사전고지 없이 일부 제품사양이 변경될수 있습니다.” 라는 문구로 대체되고 있을 뿐입니다.
스펙을 상향시키면서 리비전을 변경하든 아니면 다운시키면서 변경을 하든 구매하는 소비자가 정확하게 이를 인지하고 구매할수 있다면 사실 문제가 되고 이슈가 될 일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를 인지할수 없도록 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한다면 결국 브랜드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