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의 등장이전에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3~5위권 단골손님은 중국의 ZTE 였습니다.
하지만 샤오미의 등장으로 가장 먼저 TOP 5 에서 밀려난 피해자는 ZTE가 되었습니다.
물론 한국의 LG 나 일본 소니역시 샤오미 등장으로 인한 피해자로 볼수 있지만 ZTE는 같은 중국계 제조사인데다가 내수시장에서 밀렸다는 부분으로 자존심의 상처도 많이 입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2014년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과 관련된 포스트를 보시면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분위기를 쉽게 이해하실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절치부심 ZTE, 음성인식 제어기능 탑재 스타2 스마트폰 공개
샤오미에 대응하기 위해서 중보급형 스마트폰을 다수 선보이고 있는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과 다르게 ZTE는 오히려 프리미엄 플래그쉽 스마트폰 신제품인 스타2(Star2) 스마트폰을 공개했습니다.
ZTE 스타2 스마트폰은 1920X1080 해상도의 5인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였으며 퀄컴 801 프로세서를 채용하였습니다.
2GB의 RAM과 16GB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1.3MP 카메라와 2,300mAh 용량의 배터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이러한 하드웨어 스펙만으로는 최신 플래그 쉽 스마트폰이라고 하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6.9mm 초슬림설계와 알루미늄소재를 사용한 점이 좀 더 부각될수는 있겠지만 여전히 2015년 ZTE 전략 스마트폰이라고 하기엔 무언가 빠진 느낌입니다.
ZTE는 하드웨어적인 원가를 상승시키는 스펙 상향 조건을 적용하여 플래그쉽 전략 스마트폰을 만들고 싶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최근 트렌드인 가격대 성능비가 무너지면 삼성과 애플등과 직접적으로 시장에서 경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W적인 부분에서 차별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바로 음성인식 제어기능을 탑재한 것입니다.
잠금해제,카메라촬영,전화통화등 거의 대부분의 스마트폰 제어를 음식인식으로 제어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적용된 음성인식관련 특허만 150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또 음성인식의 핵심적인 요소인 인식율면에서도 꽤 괜찮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주변 소음이 상당한 곳에서도 90%이상의 인식율과 인식속도 면에서도 1초내외의 빠른 속도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이러한 음성인식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서 마치 액션영화를 방불케하는 프로모션 동영상을 제작하는등 상당히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ZTE 스타2 스마트폰의 음성인식 기능은 상기 동영상을 보시면 쉽게 이해되실것으로 생각됩니다. 앞서 설명드린것 처럼 하드웨어 스펙을 높이는 전략 대신 차별화된 SW 기능을 탑재하는 전략을 선택해 출시예상 가격대도 약 40만원대 초반선이라고 합니다.
물론 한국어 인식은 안되겠지만 영어권 시장과 중국어권 시장만 공략하는데 성공한다면 ZTE에게는 성공일 것입니다. 2015년 ZTE의 음성인식 스마트폰인 “스타2” 스마트폰 여러분이 보시기에는 어떠신가요?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