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크롬캐스트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것 같습니다. 새로운 미디어 시대를 예고하며 등장한 크롬 캐스트는 5월 14일 아시아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에 진출했습니다.
당시 국내의 반응은? 구글이라도 당분간 한국에서는 쉽지 않을껄… 대략 이런 반응이였던 것 같습니다.
이유는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한국에서는 유투브나 티빙 정도의 컨텐츠가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하고 미러링 기능지원이 빠지는등 활용도가 미국보다는 떨어지는 이유였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의구심을 가졌던 부분이 거실가전의 중추라고 할수 있는 TV에 크롬캐스트를 연결했을때 과연 유투브 만으로 가족들의 TV시청을 크롬캐스트로 돌릴수 있을까 하는 부분 때문이였습니다.
하지만 구글은 크롬캐스트로 확보될 수 있는 가전시장 진출효과와 컨텐츠 장악에 대한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약 2개월뒤인 7월 10일 크롬캐스트 앱을 1.7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서 미러링 기능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크롬캐스트 미러링 지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블로터닷넷에 소개된 기사가 있으니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또 실질적인 판매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크롬캐스트 지원앱을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개발자들에게 구글 캐스트 SDK를 배포하며 앱과 웹서비스가 크롬캐스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개선하라고 권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유통망도 롯데하이마트,G마켓,옥션,11번가 등은 물론 소셜커머스인 티몬까지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초기 크롬캐스트의 개념을 잘 모르는 판매점 직원들을 위해서 제품 판매교육까지 진행하며 적극적인 시장개척에 나서고 있는 것입니다.
구글은 왜 크롬캐스트에 적극적일까?
구글은 스마트폰시장에 구축된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자동차 , 가전등 모든 분야로 확대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비교적 협조적인 자동차 분야와 다르게 가전분야에서는 이탈 움직임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uvgKa_kGouw/U8TX_DGxBnI/AAAAAAAAFFQ/gVFYugmJv7U/s144-c-o/%2525EC%252598%2525A4%2525ED%252594%252588%2525EC%25259D%2525B8%2525ED%252584%2525B0%2525EC%2525BB%2525A4%2525EB%252584%2525A5%2525ED%252584%2525B0%2525EC%2525BB%2525A8%2525EC%252586%25258C%2525EC%25258B%25259C%2525EC%252597%252584.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6186878748722802″ caption=”” type=”image” alt=”오픈인터커넥터컨소시엄.jpg” ]
삼성과 인텔,델등 주요 IT & 컨슈머가전사들이 중심이 된 오픈 인터커넥트 컨소시엄을 결성하여 독립적인 스마트 가전 업계표준 통신규격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는 안드로이드OS에 대한 뚜렷한 대안이 없기 때문에 오픈소스기반의 독립적인 스마트가전 OS플랫폼을 밀고 있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신표준 규약이 만들어지면서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면 가전 분야에서 타이젠등 다양한 안드로이드 대체 OS가 나올수 있습니다.
표준 규격은 다수의 사용자가 쓸수록 표준화될 가능성 높아
구글은 기업이 아닌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보급전략을 펼치면서 많은 사용자를 통한 시장표준을 만들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그 첫단추는 사람들이 TV로도 구글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MxmL-TqHguQ/U8TX5LU8rwI/AAAAAAAAFE4/LZEppjH4PD8/s144-c-o/%2525ED%252581%2525AC%2525EB%2525A1%2525AC%2525EC%2525BA%252590%2525EC%25258A%2525A4%2525ED%25258A%2525B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6186777876475650″ caption=”” type=”image” alt=”크롬캐스트.jpg” ]
크롬캐스트등의 애드온 방식 하드웨어 보다는 원천적으로 안드로이드TV가 나오는 것이 좋겠지만 웹OS를 밀고 있는 LG 나 내심 타이젠을 기반으로 한 TV를 생각하고 있는 삼성등 주요 가전사들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소비자를 설득하고 수많은 소비자들에 의해서 설득당한 삼성,LG가 결국 안드로이드 OS TV를 내놓기를 기대한다고 하겠습니다.
49,900원의 언뜻 TV 악세사리에 불과한듯 보이는 구글 크롬캐스트가 가전시장의 지배력을 결정할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수도 있는 것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