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검색엔진 상위노출에 결국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됩니다. 상위노출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 심한 경우는 애써 작성한 포스트를 삭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상위노출이 되었다고 해서 정말 좋기만 한 것일까요?
흔히들 블로그 운영 금기사항으로 실시간 검색어 추종을 하지 말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시간 검색어 추종이 아니더라도 인기검색어를 추종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인기가 많은 검색어일수록 사람들이 많이 검색을 하고 상위에 노출될 경우 많은 파급력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소수의 파워블로거가 아니라면 이러한 인기 검색어의 의미가 사실상 무의미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갤럭시S5” 검색어를 기준으로 한 네이버 상위노출 비교
블로거들이 가장 많은 신경을 쓰고있는 네이버를 기준으로 “갤럭시S5″라는 검색어를 입력해 보았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2eEtag9CUms/U7t78tY-MHI/AAAAAAAAE0g/XZAEh30DnJ8/s144-c-o/%2525EA%2525B0%2525A4%2525EB%25259F%2525AD%2525EC%25258B%25259CS5.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3552408699613298″ caption=”” type=”image” alt=”갤럭시S5.jpg” ]
위의 통합검색 결과를 보시면 무언가 공통점이 느껴지시지 않나요? “갤럭시S5″를 검색했음에도 5개중 4개의 포스트가 갤럭시S5 광대역 LTE-A 라는 검색어를 공통적으로 제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구나 제목의 시작을 이 검색어로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3개의 포스트를 읽어보면 이 제품에 대한 대부분의 내용이 파악이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굳이 다른 포스트를 더 찾아서 보려 할까요?
[pe2-image src=”http://lh5.ggpht.com/-TQoVKUdru-Q/U7t7-C8VKhI/AAAAAAAAE0w/Uk86azUwtvo/s144-c-o/%2525EC%252583%252581%2525EC%25259C%252584%2525EB%252585%2525B8%2525EC%2525B6%25259C%2525EC%2525B0%2525B8%2525EC%2525A1%2525B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3552431664933394″ caption=”” type=”image” alt=”상위노출참조.jpg” ]
또하나 주목할 점은 포스트 등록날짜입니다. 가장 오래된 포스트가 6일전이며 가장 최근포스트가 어제입니다. 거의 매일 갤럭시S5를 주제로한 포스트를 작성하지 않는다면 상위노출에 등록될 가능성이 희박해 진다는 이야기입니다.
네이버 검색엔진의 경우 최신글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알수가 있습니다. 더욱 어려운점은 상위노출된 5개의 블로그 모두 파워블로거들이 운영하는 블로그라는 점입니다.
상위노출 경쟁에서 이길수 있을까요? 저는 자신없습니다.
구글에서는 어떻게 보여지나?
동일한 검색어가 구글에서는 어떻게 보여질까요?
[pe2-image src=”http://lh5.ggpht.com/-VTIghVSc6uM/U7t78hmrYFI/AAAAAAAAE0k/6ldB5wtLTF0/s144-c-o/%2525EA%2525B0%2525A4%2525EB%25259F%2525AD%2525EC%25258B%25259CS502.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3552405535875154″ caption=”” type=”image” alt=”갤럭시S502.jpg” ]
구글은 섹션을 구분하여 보여주지 않고 웹문서,블로그포스트,사이트정보등 관계없이 사용자가 많이 선호하는 포스트를 우선노출해줍니다.
삼성홈페이지의 제품정보 페이지 조차도 최상위노출이 안되고 4번째 노출이 되었으며 2014년 3월 28일 작성된 블로그 포스트가 최상위 노출이 되고 있습니다.
거의 3개월 지난 포스트가 최상위를 유지하고있는 것입니다. 최신성도 중요하지만 절대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적어도 구글에서는 파워블로거라는 가산점을 주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공정한 경쟁이 가능합니다.
SEO(검색엔진 최적화)를 잘 맞춰주고 컨텐츠 내용이 괜찮은 경우는 이웃이 많던 적던 파워블로거가 될 정도로 많은 포스트와 오랜운영기간을 운영한 경우보다 더 높은 비중을 주고 있는 것입니다.
단기적인 검색엔진 상위노출보다는 장기 지속 가능한 생명력있는 컨텐츠가 중요
블로그에 생명력을 부여하자라는 내용의 포스트를 작성한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실사례를 소개해드리지 못한 것 같아 관련내용을 추가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_6j97P-QFEw/U7t7-v83WZI/AAAAAAAAE00/5bOtQ3tmzQk/s144-c-o/%2525EC%25259E%252590%2525EC%25259D%2525B4%2525EC%252596%2525B8%2525ED%25258A%2525B8%2525EC%252583%252598%2525ED%252594%25258C.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3552443746769298″ caption=”” type=”image” alt=”자이언트샘플.jpg” ]
상기 이미지는 “삼성의 40년 파트너 : 코닝의 고릴라글래스(Gorila Glass)” 라는 포스트입니다. 삼성과 코닝의 전략적 제휴시점에서 삼성과 코닝의 과거 인연등을 묶어서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자이언트블로그의 플랫폼을 워드프레스로 변경한 시점인 2013년 12월에 바로 등록되어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해서 현재까지 총 1001명이 이 포스트를 읽어보셨습니다.
월별로 꾸준히 100명이상 읽고 있는 포스트라고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포스트는 언제 작성되었을까요?
[pe2-image src=”http://lh6.ggpht.com/-Z_Y5yuIZcq8/U7t77nj0FaI/AAAAAAAAE0U/GpyPPMsDl2c/s144-c-o/2013%2525EB%252585%2525846%2525EC%25259B%2525943%2525EC%25259D%2525BC%2525EC%252588%252598%2525EC%2525A7%252591.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7#6033552389954606498″ caption=”” type=”image” alt=”2013년6월3일수집.jpg” ]
이전의 블로그 플랫폼인 네이버 블로그에 등록되었을 당시 한 메타블로그에 자동수집된 날짜가 2013년 6월 3일입니다. 즉 이 포스트는 1년전에 작성된 포스트인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삼성과 코닝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꾸준히 읽혀질 포스트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인기 검색어는 아니기 때문에 폭발적인 유입량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한번 작성된 포스트가 수년간 꾸준히 읽혀지는 것이 좋은가? 아니면 수만의 단기 유입량을 만들어내고 6개월이면 의미없는 포스트가 되는가? 선택은 자유일것입니다.
1000개의 포스트가 완성되었을때 가장 오래된 포스트도 누군가 유용하게 읽어준다면 검색엔진의 상위노출에 크게 연연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1000개의 포스트중 최근 200개 포스트에서 거의 대부분의 유입이 발생한다면 뫼비우스의 띠처럼 계속 인기검색어 또는 실시간 검색어를 찾아 헤매고 또 반복적으로 포스트를 써나가야 될 것 같습니다.
긴호흡으로 본다면 장시간 지속적인 생명력을 가진 포스트를 많이 써야 하는 이유가 이러한 부분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
4 Comments
익명
딱히 저런걸 신경쓰지 않고 포스팅을 쓰기는 하지만
그래도 상위노출되면 좋기는 하겠죠.
글쓰고 확인도 안 하는 스타일이라서.. ^^;;
핑크팬더
Giantt
네 ^^ 하지만 블로그를 운영하는 목표가 취미활동이 아닌 홍보등의 목적이 있다면 조금은 신경쓰실 필요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많은 시간 투자해서 내놓은 책 홍보 하셔야죠.. ^^
익명
좋은 글감사해요. 많은 걸 느끼게 하는 글 같아요
Giantt
네. 재미있게 읽으셨다니 다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