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가장 치열한 IT 시장중 하나인 스마트폰 시장에 야심차게 파이어폰(Fire Phone)으로 도전장을 던진지 몇일이 지나고 있습니다.
3D 스마트폰등에 대한 말이 많지만 개인적으로 3D 스마트폰이라는 이름자체가 어울리지 않는 포지션이라고 보여집니다.
마치 닌텐도의 3DS XL 과 같은 무늬만 3D 효과 수준인 파이어폰을 3D 스마트폰으로 불리워야 할지 의구심이 들기 때문입니다. 3D 스마트폰 보다는 아마존 쇼핑단말기능 탑재 스마트폰이라고 불리워야 마땅하다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파이어폰의 런칭과 함께 아마존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바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즉 사전에 준비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하드웨어 가격전쟁을 치르지 않고 있는 아마존 파이어폰
이번 파이어폰(Fire Phone)의 경우 예상외의 가격이 나왔습니다. 팔때 마다 손실이 발생하던 킨들 런칭 때 와 달리 하드웨어 자체에 대해서 손실을 보면서 까지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이 하드웨어 시장에 진입할 때 사용하던 “원가이하의 하드웨어+컨텐츠 수익전략” 이라는 기본 마케팅전략에 변화가 생겼다는 의미입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_RFm3d6vhm4/U6e_CrBagCI/AAAAAAAAEc0/G0OpY0ld55E/s144-c-o/%2525EC%252595%252584%2525EB%2525A7%252588%2525EC%2525A1%2525B4%2525ED%25258C%25258C%2525EC%25259D%2525B4%2525EC%252596%2525B4%2525ED%25258F%2525B0%2525EB%2525A0%252588%2525ED%252584%2525B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7996678887997474″ caption=”” type=”image” alt=”아마존파이어폰레터.jpg” ]
이러한 마케팅 전략의 변화는 ebook 시장과 다른 스마트폰시장의 현상황을 대변해 준다고 하겠습니다. 현재 스마트폰시장에서 의미있는 수익을 내는 브랜드는 사실상 애플과 삼성 뿐이라고 하겠습니다.
의미있는 수익을 내는 애플과 삼성을 제외하고 영업이익면에서 3위인 TCL-알카텔이 기록한 2013년 4분기 스마트폰 평균이익율은 불과 $3입니다. 뒤를 이어 소니 $3 , 레노버 $2 , 샤프와 ZTE $0 이외에 화웨이,노키아,LG,HTC,블랙베리,모토롤라는 오히려 팔때마다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이미 제조원가+마케팅비용등 영업비용을 제외한 판매수익이 마이너스 상태인 시장에서 아마존이 손실을 보는 수준으로 파이어폰의 가격을 내린다고 해도 시장점유율 확대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원가이하로 팔던 원가로 팔던 시장점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데 굳이 저렴한 가격을 선택하기 보다는 소비자가 비싸다고 느끼지 않을 수준만큼만의 가격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파이어폰(Fire Phone)의 가격은 삼성 & 애플과 비슷한 수준인 $199~$699 의 가격대(2년약정 기준)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또 통신사 파트너도 다양하게 확대하는 기존 스마트폰 제조사들과 다르게 AT&T로 지정하고 판매를 개시합니다. 이것은 단기간내 물량 확대 에 치중하지 않겠다는 전략을 보여줍니다.
차별화되고 가치있는 SW 솔루션을 제시하여 소비자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
그렇다면 아마존은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있을까요? 핵심은 SW 솔루션 전략입니다. 그렇다고 MS의 전략처럼 무조건 숫자를 증가시키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지는 않습니다.
SW 솔루션이라는 단어 앞에는 2가지 수식어가 붙습니다. 바로 차별화되고 가치있는~ 이라는 수식어입니다. 무슨 의미일까요? MS 처럼 이미 안드로이드 나 iOS 앱 시장에서 인기가 있는 앱들을 윈도우 앱 시장으로 옮겨놓기 위해서 애쓰지 않는다(=돈을 쓰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아마존은 6월 20일 아마존 파이어폰 앱 개발자들을 위한 정책을 밝혔습니다. 파이어폰 앱을 개발하는 개발자들에게 $5,000(아마존 캐시인 아마존 코인으로 지급)의 비용을 지원해주겠다는 것입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BXos5s8OoBA/U6e_Cp1n_QI/AAAAAAAAEc4/WUzHPtAWDac/s144-c-o/%2525EC%252595%252584%2525EB%2525A7%252588%2525EC%2525A1%2525B4%2525EC%252595%2525B1%2525EC%2525A0%252584%2525EB%25259E%2525B5.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7996678570114306″ caption=”” type=”image” alt=”아마존앱전략.jpg” ]
개발자당 최대 3개 앱까지 이 혜택이 적용되는데 3개의 앱을 모두 적용받는다면 $15,000(원화 약 1600만원)의 지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아마존에서 내세운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다이나믹 퍼스펙티브 SDK(개발자 키트)를 사용하여 개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이나믹 퍼스펙티브 기능은 파이어폰의 4개 카메라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파이어폰 전용앱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0LchWlx-c7c/U6KHLS2bSuI/AAAAAAAAEaw/i_dl0KJCJV4/s144-c-o/%2525ED%25258D%2525BC%2525EC%25258A%2525A4%2525ED%25258E%252599%2525ED%25258B%2525B0%2525EB%2525B8%25258C%2525EB%25258F%252599%2525EC%25259E%252591.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6527879483575010″ caption=”” type=”image” alt=”퍼스펙티브동작.jpg” ]
위에서 이야기한 차별화되고 가치있는 SW솔루션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애플 iOS 앱,안드로이드 앱시장에서 볼수없는 파이어폰에서만 나올수 있는 특별한 앱들이라면 그 수가 적더라도 분명 차별화되는 것입니다.
또한 개발자들에게는 개발을 하는데 있어 들어가는 시간적인 투자에 대한 보상을 분명하게 제시해주는 것입니다.
이미 안드로이드 나 iOS 앱을 개발하던 개발자들이 혹시 큰 시장으로 활성화될지 모르는 파이어폰 앱 시장에 대해서 돈을 주지 않더라도 Study 차원에서 개발시도를 하게 될 것입니다 .
그런데 확실한 금전적인 동기 부여까지 제공하니 일부 개발자들에게는 꽤 괜찮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아마존의 방향성은 단시간내에 파이어폰의 의미있는 시장점유율을 만들기 보다는 단계적으로 쇼핑이라는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면서 기존 안드로이드와 iOS 생태계와 다른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고자 하는 전략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