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버 시장이 확대되고 아마존등 해외 클라우드 서버들이 본격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이시장도 치열한 서비스와 가격경쟁이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국내의 대표적인 KT가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KT 유클라우드 서버 서비스에 대해서 약정할인이라는 방식으로 가격공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약정할인 개념을 클라우드 서비스 요금제에 도입한 것입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가상의 서버공간을 활용하여 CPU,메모리,디스크등의 자원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물리적인 서버구축비용이 들지 않고 필요할때 마다 빠르게 사양을 높여 대량 트래픽에 대응할수 있어 전체 TCO 기준으로 가치가 높다고 할수 있습니다.
KT 유클라우드 약정할인, 무조건 좋지만은 않아
먼저 KT에서 프로모션하고 있는 KT 올레 유클라우드 비즈 서비스의 약정할인 조건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r7icksv7rR0/U6Fnu9GmTMI/AAAAAAAAEZo/eyJMDnBPry4/s144-c-o/KT%2525ED%252581%2525B4%2525EB%25259D%2525BC%2525EC%25259A%2525B0%2525EB%252593%25259C%2525EC%252584%25259C%2525EB%2525B2%252584%252520%2525EC%252595%2525BD%2525EC%2525A0%252595%2525ED%252595%2525A0%2525EC%25259D%2525B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6211832772316354″ caption=”KT클라우드서버 약정할인.jpg” type=”image” alt=”KT클라우드서버 약정할인.jpg” ]
상기 내용을 보면 1년이상 장기사용하는 서버에 대해서 최대 20% 금액으로는 300만원 가량의 할인혜택을 받을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1년간 사용하겠다는 약정만 하면 할인받을수 있으니 꽤 괜찮은 조건인것 같습니다.
올레 유클라우드 1년 약정할인 문제점 3가지
하지만 다음사항을 염두에 두셔야 하겠습니다.
1. 20%할인조건은 요금제가 비싼 High Memory 상품에만 적용된다. High Memory 상품은 가장 낮은 요금제가 111,350원에 달하는 고가 상품이라고 하겠습니다.
일반 블로거들이 워드프레스를 기반으로 구축하여 사용할 만한 클라우드 표준상품의 경우는 절반수준인 10% 할인만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 플랫폼을 구축할만한 1코어 2GB 메모리 상품의 경우 월요금이 42,000원 수준입니다.
10% 할인을 적용받으면 37,800원으로 월 4,200원의 할인효과를 거둘수 있습니다. 1년간 적용되는 프로모션이므로 총 50,400원 할인을 받을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할인이 크게 적용된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2. 기존 VM은 적용되지 않으며 신규 생성 VM만 적용가능, 이미 VM(가상서버)을 생성하여 사용중인 고객은 적용되지 않으며 신규VM을 생성할 경우 적용됩니다. 이 프로모션에 혜택을 받으려면 새로 VM을 생성하고 서버이전 작업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3. 약정할인 적용된 VM의 경우는 요금제 변경 및 상품변경이 제한, 가장 중요한 제약사항일 것 같습니다. 클라우드 서버의 근본적인 취지에 어긋난 조건일것 같습니다. 트래픽량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서버 사양을 조절하여 트래픽에 대응해야 하는데 요금제변경 및 상품변경제한이 된다는것은 서버전체 사양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만약 네이버에 광고프로모션을 집행하여 대규모 방문자가 이벤트페이지가 세팅된 서버를 방문할 경우 대처가 불가능하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왜 1년약정 할인 프로모션 할까?
KT측의 프로모션 목표에 대한 부분은 정확하게 KT만이 알고 있겠지만 몇가지 추정해 볼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첫번째로는 자사 서버의 사용을 1년동안 묶어둔다면 서비스 제공사를 변경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하는것 같습니다.
1년동안 지속적으로 컨텐츠가 누적되면 서버이전 작업량이 많아져 1년이후 서비스 요금제등이 약간 더 상승하더라도 그대로 눌러 앉는 경우가 대부분일것이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는 아마존등 해외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사나 국내 경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일시적으로 1년간 고객들을 묶어둘 필요성을 느낀것 같습니다.
특히 기업들이 주로 사용하는 고가의 High Memory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잡은 것등으로 추정해 볼수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저가상품인 표준상품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를 고가상품인 High Memory 상품으로 이전하는것을 유도하는 프로모션 성격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최근 4월에 먼저 적용된 기본요금 할인정책에서 표준 상품은 제외하고 High Memory 상품만 할인이 적용된점등을 들수가 있습니다.
즉 고가상품의 기본요금을 1차적으로 낮추고 2차 정책으로 한시적인 추가할인을 하여 성능대비 가격차를 줄여 상위 가격 상품으로의 이전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만약 전체적으로 트래픽변화가 거의 없고 장기간 운영하는 웹사이트라면 이러한 1년 약정할인 프로그램에 참여해도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트래픽을 1년단위로 예측할수 있다면 물리적인 서버를 선택하지 클라우드 서버를 선택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