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F영화 나 액션영화를 보면 미국의 무인공격기가 자주 등장합니다.
최첨단 무기체계를 이용하여 외계인 혹은 괴수등의 적을 공격하는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서 무인공격기를 등장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장면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무인공격기는 제너럴 아토믹사의 MQ-9 리퍼(Reaper) 무인공격기입니다.
MQ-1 또는 엔진출력을 135마력으로 향상시킨 MQ-1C 스카이 워리어 무인공격기에 4발의 헬파이어 미사일을 장착시켜 작전을 수행할수 있었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Zr9bQc6wqiw/U5LujeZtoNI/AAAAAAAAECY/aoXJh6HYCt0/s144-c-o/MQ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2137944971518162″ caption=”” type=”image” alt=”MQ9.jpg” ]
하지만 보다 실질적인 공격작전을 수행할수 있는 것은 MQ-9 리퍼(Reaper)부터가 아닌가 합니다.
900마력 터보프롭엔진장착 최대 14시간 작전수행가능한 MQ-9 리퍼
MQ-9 리퍼(Reaper)는 900마력의 출력을 보여주는 허니웰사의 터보프롭엔진을 장착하여 최대 14시간 작전수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Lynx II SAR 레이더와 전자광학 센서 시스템을 탑재하여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 및 악천후 상황에서도 작전이 가능한 무인공격기입니다.
또한 MQ-1 시리즈가 헬파이어 미사일 정도의 무장을 탑재했다면 GBU-12,GBU-38,헬파이어등 최대 1.7톤의 미사일 및 폭탄을 장착할 수 있어 공격력 또한 막강하다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막강한 MQ-9 리퍼 또한 터보프롭 엔진의 한계, 일명 프로펠러로 동작하는 기체의 한계가 명확해 보였습니다.
좀더 막강한 공격력과 보다 긴 작전수행시간 또한 현대적 항공기가 갖추어야 할 덕목들에서 MQ-9 리퍼역시 한계점이 있는것입니다.
제너럴 아토믹사는 이러한 MQ-9 리퍼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차세대 무인공격기인 프레데터C 어벤저(Avenger) 를 개발합니다.
MQ-9 리퍼보더 50% 더빠르고 약 2배 더 많은 무장 탑재 프레데터C 어벤저
차세대 대형 무인공격기인 프레데터C 어벤저(Avenger)는 최대 이륙중량이 8.255kg 으로 MQ-9 리퍼의 최대 이륙중량인 4,760kg에 거의 2배에 가깝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zjRtC9fLwrk/U5L3sJdpGeI/AAAAAAAAEDY/_fuEFbYqboQ/s144-c-o/%2525ED%252594%252584%2525EB%2525A0%252588%2525EB%25258D%2525B0%2525ED%252584%2525B0C%2525EC%252596%2525B4%2525EB%2525B2%2525A4%2525EC%2525A0%25258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2147989574326754″ caption=”” type=”image” alt=”프레데터C어벤저.jpg” ]
그만큼 미사일이나 폭탄을 더 많이 탑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터보팬 엔진을 탑재하여 MQ-9 리퍼보다 약 50% 더 빠른 속도를 낼수 있습니다.
1분 28초부터 시작되는 MQ-1/ MQ-1C MQ-9 /어벤저C의 비교모습(시뮬레이션 동영상)
더구나 가장 무서운 점은 스텔스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입니다. 내부 무장창을 도입하여 공격력 보다는 은밀성이 필요한 작전에 투입이 가능한 특성을 갖추고 있는 것입니다.
첫번째 동영상은 시뮬레이션 동영상이며 이 동영상에서 어벤저의 실제 동작모습을 보실수 있습니다.
최고속도는 시속 740km 수준이며 최대 18시간 가량 비행이 가능합니다. 상승고도 역시 기존 MQ 시리즈보다 높은 6만피트 상공까지 상승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비행특성면에서 이전 무인공격기들을 압도하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gGe48IrYQiE/U5L3HWxLaHI/AAAAAAAAEC4/HY21Vlt0cJE/s144-c-o/%2525EC%252596%2525B4%2525EB%2525B2%2525A4%2525EC%2525A0%252580%2525EC%25258A%2525A4%2525ED%25258E%25259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2147357490767986″ caption=”” type=”image” alt=”어벤저스펙.jpg” ]
2009년 4월 4일 첫번째 비행에 성공했으며 이전 MQ-1 이나 MQ-9의 인프라와의 호환성을 최대한 유지하여 MQ-9등을 컨트롤하는 지상 관제시스템과도 호환된다고 합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gNn2O5GDX7A/U5L3sLoLvNI/AAAAAAAAEDU/bHLK1AeA47s/s144-c-o/%2525EC%252596%2525B4%2525EB%2525B2%2525A4%2525EC%2525A0%252580%2525EC%25259D%2525BC%2525EB%25259F%2525AC%2525EC%25258A%2525A4%2525ED%25258A%2525B8%2525EB%2525A0%252588%2525EC%25259D%2525B4%2525EC%252585%25259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2147990155410642″ caption=”” type=”image” alt=”어벤저일러스트레이션.jpg” ]
기존 군수지원 시스템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여 시스템 구축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진다고 하겠습니다.
스텔스특성을 활용하여 방공망 유지지역도 타격가능
스텔스기를 중심으로 하는 차세대 전장에서 방공망이 온전하게 유지되고 있는 지역이라도 공격가능한 점은 MQ-9 리퍼가 제공하지 못하는 프레데터C 어벤저(Avenger) 만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하겠습니다.
또한 전자 광학 센서 시스템 역시 진보하여 F35 전투기에 탑재된 광학타켓팅 시스템인 EOTS 소형버전인 ALERT (Advanced Low-observable Embedded Reconnaissance Targeting)가 탑재되어 지상 공격목표물을 광학적으로 타겟팅하여 공격할 수 있습니다.
현재 2017년 부터 미공군에서 도입예정에 있으며 대당 가격이 약 1,500만 달러 수준으로 F-35A 양산가격으로 추정되는 1억 1천만 달러의 거의 1/10 수준이라고 하겠습니다.
F-35A 1대의 도입비용으로 약 9~10대가량의 프레데터C 어벤저(Avenger)운용이 가능한 것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