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에서 새로운 서비스인 “바로 이거” 라는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문서 자동분석 및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최신 서비스라고 합니다. 주요 IT 미디어는 다음이 네이버 지식인 서비스에 대항하기 위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았다고 소개하고있습니다.
또 이러한 복잡한 알고리즘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돕기 위해서 “사람 갈비뼈 개수” 라는 검색어를 예로 들었습니다. 그래서 직접 다음 홈페이지에서 해당 검색어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dEfJ8vMvhOI/U414QsCQEtI/AAAAAAAADzE/eMjKbR8OaWw/s144-c-o/%2525EC%252582%2525AC%2525EB%25259E%25258C%2525EA%2525B0%252588%2525EB%2525B9%252584%2525EB%2525BC%252588%2525EA%2525B0%25259C%2525EC%252588%25259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0600504958063314″ caption=”” type=”image” alt=”사람갈비뼈개수.jpg” ]
간단하게 12쌍이고 24개라는 단답형 정답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다음이 보도자료를 보내면서 예시로 든 검색어이니 살짝 바꿔서 “사람 이빨 개수” 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livTgx5RVkw/U414QrVfISI/AAAAAAAADy0/kUCPDGsz8kc/s144-c-o/%2525EC%252582%2525AC%2525EB%25259E%25258C%252520%2525EC%25259D%2525B4%2525EB%2525B9%2525A8%252520%2525EA%2525B0%25259C%2525EC%252588%25259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0600504770306338″ caption=”사람 이빨 개수.jpg” type=”image” alt=”사람 이빨 개수.jpg” ]
역시 짧고 간결한 답이 나왔습니다. 네이버 지식인서비스는 사용자가 질문한 내용에 사용자가 답변하는 방식이라서 잘못된 답변이 등록될수도 있고 언제 답변이 달리게 될지 막연히 기다려야 합니다.
또 어떤 질문은 답변이 안달릴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의 바로이거 서비스는 경우에 따라서 꽤 괜찮은 서비스인것 처럼 보여집니다.
사람 갈비뼈는 알고 있는데 원숭이 갈비뼈는 모르는 “다음의 바로이거 서비스”
이제 다시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 대신 원숭이를 넣고 갈비뼈와 이빨개수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1__ThRxFUjQ/U414QqPYouI/AAAAAAAADy8/Go1DTfotIWw/s144-c-o/%2525EC%25259B%252590%2525EC%252588%2525AD%2525EC%25259D%2525B4%252520%2525EA%2525B0%252588%2525EB%2525B9%252584%2525EB%2525BC%252588%252520%2525EA%2525B0%25259C%2525EC%252588%25259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0600504476279522″ caption=”원숭이 갈비뼈 개수.jpg” type=”image” alt=”원숭이 갈비뼈 개수.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V4XF7boBmms/U414R4gdI4I/AAAAAAAADzI/FYJxXdjTs8A/s144-c-o/%2525EC%25259B%252590%2525EC%252588%2525AD%2525EC%25259D%2525B4%252520%2525EC%25259D%2525B4%2525EB%2525B9%2525A8%252520%2525EA%2525B0%25259C%2525EC%252588%25259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6#6020600525485843330″ caption=”원숭이 이빨 개수.jpg” type=”image” alt=”원숭이 이빨 개수.jpg” ]
하지만 다음의 바로 이거 서비스는 원숭이의 갈비뼈와 이빨 숫자는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다음이거 서비스가 적용되는 검색어의 숫자는 현재 50만개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음은 이 서비스가 적용되는 검색어를 확대한다고 합니다.
단답형 검색서비스는 DB의 양이 성패를 좌우해
50만개라는 검색어가 매우 많아 보이지만 사실 매우 적은수에 불과합니다. 이것은 단답형 검색이라는 특성에 기인합니다. 깊이가 있는 검색어에 대한 결과물이 아닌 짧은 답변(정보)을 제공해주는 검색서비스로 볼때 10회시도시 1~2번 검색결과를 보여주면 다시 이용하지 않게될 확율이 높습니다.
정확도보다도 검색시도에서 높은 확율로 답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입니다. 구글은 현재 매일 약 200억개의 웹페이지를 인덱싱하고 있습니다.
다음이 매일 50만개의 검색어를 다음이거 서비스 검색어로 적용시키더라도 구글이 웹페이지를 인덱싱해서 링크를 보여주는 검색결과를 추격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반면 네이버 지식인 서비스와의 대결 역시 효과적인 상황은 아닌것으로 생각됩니다. 누군가가 사람 갈비뼈 개수를 네이버 지식인에 질문했다면 보다 심도있는 답변이 제공되거나 단답형일 경우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답변이 달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현재 다음의 DB 확보(웹페이지 인덱싱) 나 사용자 확보측면에서 네이버나 구글에 비해서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다음은 현재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다음블로그 나 카페등의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개편하는 작업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것이 아닌가 합니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람들에게 최고의 플랫폼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고품질 컨텐츠를 다음플랫폼을 이용하여 만들수 있게 하는것이 좀 더 미래 지향적이 아닌가 합니다.
특히 네이버의 네이버포스트처럼 모바일을 포커싱 하는 컨텐츠 생산플랫폼을 제공하는 부분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