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WordPress)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초반에 포기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낯선 리눅스(linux) 환경과 낯선명령어와 개념등이 가장 큰 장애 요인이 될 것입니다.
또 인터넷이나 관련 서적등을 참조하고자 해도 리눅스의 버전에 따라서 설치방법등이 조금씩 틀려 그대로 따라해보다가 포기하는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현재 주요 클라우드서버 서비스 회사에서 거의 대부분 제공하는 리눅스 서버 플랫폼은 Centos 이며 개인적으로 3개정도의 클라우드 서버 서비스 회사의 센토스(Centos)버전을 확인해본 결과 5.8 버전과 6.3 버전이 대부분 제공되고 있었습니다.
이중 최신 버전인 Centos 6.3을 기준으로 APM 그리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전에 APM이 설치되어 있기도 한데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급적이면 직접 APM을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PM설치에 대한 기본 설치는 보다 잘 정리하여 설명된 좋은 컨텐츠가 많으니 관련 링크로 대체합니다. 상세한 설명보다는 순서와 사용명령어 위주로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명령어에 대한 세부적인 의미는 진행중 문제가 있을 때 추가 확인해 보시는것이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1. 아파치 (Apache) APM 설치 와 기본위치
APM 전체설치에 대해서는 “JMnote의 리눅스 APM 설치”를 순서대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아주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yum으로 설치했다면 아파치의 각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위치는 /usr/sbin
설정 파일 위치는 /etc/httpd/conf/httpd.conf
로그 파일 위치는 /var/log/httpd/access_log
아파치를 설치한후 설정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한후 아파치를 재구동 해야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편집기 실행 : vi /etc/httpd/conf/httpd.conf
아파치재구동 : /usr/sbin/apachectl restart
* vi 편집기는 수정후 “ESC + : ” 키를 누르면 명령어모드로 전환되며 w(저장) , q(종료) 하고 나오시면 됩니다.
2. 아파치 httpd.conf 파일에 Virtualhost 설정하기
위에서 설명한 대로 httpd.conf의 편집기를 실행한 후 Virtualhost 부분을 다음 예제처럼 수정해줍니다.
<VirtualHost *:80>
ServerAdmin wordpress@wordpress.co.kr
DocumentRoot “/home/wordpress”
ServerName wordpress.co.kr
ServerAlias www.wordpress.co.kr
ErrorLog “logs/wordpress.co.kr-error_log”
CustomLog “logs/wordpress.co.kr-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파란색 부분은 각 사용하는 도메인주소와 설치위치등에 맞춰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 하나의 서버에서 DB를 여러개 사용할 경우는 NameVirtualHost *:80 의 주석을 해제해 줍니다.
3. MySQL DB 생성하기
MySQL의 실행명령 mysql -u root -p
my.cnf 파일 편집 명령 vi /etc/my.cnf
위의 MySQL 실행명령을 입력하여 root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mysql> 관리자모드로 들어갑니다.
mysql> CREATE DATABASE DB이름;
Query OK, 1 row affected (0.00 sec)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DB이름.* TO ‘사용할ID‘@’localhost’
-> IDENTIFIED BY ‘비밀번호‘;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mysql>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mysql> EXIT
Bye
exit 명령어를 실행하여 나오기 전에 DB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명령어는 show databases; 입니다.
service mysqld restart 명령어로 MySQL을 재실행시킵니다.
4. 사용자 설정과 워드프레스 설치
1) 사용자 생성과 암호생성
사용자 생성 (useradd) , 암호생성(passwd) 명령어로 사용자와 암호를 생성해줍니다. “chmod 755 /home/생성유저명” 명령어로 생성한 유저의 권한을 부여해 줍니다.
이제 root 권한에서 생성한 사용자로 변경해줍니다. su – 생성유저명 (예 : su – ABC)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2)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및 위치이동
다음은 wget http://ko.wordpress.org/wordpress-3.9-ko_KR.tar.gz 명령어로 워드프레스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현재 최신버전인 3.9 버전을 기준으로 했으며 최신버전이 있는지 확인하여 가장 최신버전으로 다운로드 해주시면 됩니다.
tar zxvf wordpress-3.9-ko_KR.tar.gz 명령어로 압축을 해제해 줍니다. 압축을 해제했으므로 압축파일은 rm wordpress-3.9-ko_KR.tar.gz 명령어로 삭제해 줍니다.
압축해제되면 wordpress 디렉토리의 내용을 모두 루트 디렉토리로 옮겨줍니다. 루트디렉토리가 ABC 디렉토리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mv /home/ABC/wordpress/* /home/ABC
wordpress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ABC 디렉토리로 옮기라는 명령어입니다. 이제 파일이 없이 비워진 wordpress 디렉토리는 rm -r wordpress 명령어로 삭제해줍니다.
3) 워드프레스 설정파일 복사 및 설정
cp wp-config-sample.php wp-config.php 명령어로 워드프레스의 설정파일을 복사해줍니다.
vi wp-config.php 명령으로 vi 편집기를 실행하여 설정파일에서 아래항목값을 입력해 줍니다.
define(‘DB_NAME’, ‘mysql db명’);
define(‘DB_USER’, ‘db사용자명’);
define(‘DB_PASSWORD’, ‘db암호’);
* vi 편집기는 수정후 “ESC + : ” 키를 누르면 명령어모드로 전환되며 w(저장) , q(종료) 하고 나오시면 됩니다.
4) 워드프레스 설치
http://www.ABC.co.kr/wp-admin/install.php 의 주소를 웹브라우저에 입력하고 이동하여 설치를 마무리 합니다.
* 오타나 수정사항 또는 보충설명등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