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잉크가격과 제품 본체가격이 비슷한 구형 잉크젯 복합기를 버리고 새로운 레이저 복합기를 구입하였습니다.
사무실에서 사용할 제품은 아니였기 때문에 고속출력보다는 적절한 가격에 와이파이 기능이 있는 제품을 고르다 보니 20만원대 초반선의 캐논 MF-4780W 제품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프린터 용지함이 내부로 완전 삽입되는 디자인을 원했지만 아무래도 가격대가 맞지 않아 적절한 선에서 타협을 한 선택입니다.
이미지상으로 볼때와는 많이 다르게 전체적으로 꽤 부피와 무게가 나가는 제품이였습니다.
캐논 MF-4780W의 주요 스펙은?
프린터 속도는 A4 기준으로 분단 23매 수준인데 실제 사용시 느리다는 느낌은 들지 않습니다. 이 제품을 선택하게된 가장 중요한 요인인 무선랜을 지원하며 지원규격은 Wifi-802, 11b/g/n 입니다.
복합기이기 때문에 당연히 프린팅, 복사 , 스캔, 팩스 기능들이 지원됩니다.
이러한 기능 중 주로 사용하게 될 기능은 프린팅과 스캔기능이 될 것 같습니다. 이외에 한글이 지원되는 5라인 LCD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LCD가 있고 없고 의 차이점은 좀 클것 같습니다.
스캔 해상도는 600 X 600 dpi 로 1200dpi 상당 수준이라고 합니다. 업무용이 아닌 가정용이기 때문에 스캔기능도 충분해보입니다. 메모리는 128MB이며 카세트용지함에는 최대 250매가 삽입됩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NGMqLD3XfZQ/U2s3deY3ulI/AAAAAAAADRA/Fb6DQjhKfgY/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6%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59107169172050″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6).JPG” ]
무게는 카트리지 포함 11.9kg 이라고 합니다. 박스의 무게를 측정해 본 결과 15.9kg 으로 부속품들이 무게가 상당합니다.약 본체와 카트리지이외에 약 4kg 정도의 무엇이 더 있다는 이야기인데 기타 부속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3CwNLseOvGo/U2s4ee5DvuI/AAAAAAAADRU/TeITQG6HfVs/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7%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0223995674338″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7).JPG” ]
케이블과 CD , 설명서등으로 특별히 무거울만한 부속품은 없습니다. 결국 스티로품과 박스등의 무게이며 무게도 무게지만 부피로 인해서 성인남성도 박스를 들고 옮기기가 부담스럽습니다. 따라서 직접 오프라인 구매하여 운반하는 것보다는 온라인 주문을 하는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캐논 MF-4780W 본체의 전후 좌우 면
본체를 꺼내면 운송중 흔들림 방지를 위한 각종 지지물들과 테이프 고정물들이 보여집니다. 거의 대부분 택배 운송이 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고정 지지처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gZt1SB_iqqc/U2s5KMSPEHI/AAAAAAAADSA/lGIfKt_jFPE/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8%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0974915244146″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8).JPG” ]
본체의 정면에는 빠른 설치 가이드형태의 인쇄물과 함께 두꺼운 종이로 흔들림 방지를 위한 고정처리를 해 두었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t93vCaZboOQ/U2s5JYHVqOI/AAAAAAAADR0/QroI2rUUg38/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2%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0960910895330″ caption=”캐논 MF4780W (12).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2).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X7WIN36yLnE/U2s5JblJM0I/AAAAAAAADR4/EgKDyzS6ACc/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1%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0961841214274″ caption=”캐논 MF4780W (11).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1).JPG” ]
[pe2-image src=”http://lh3.ggpht.com/-ckzBLuyMJuU/U2s5JH5LodI/AAAAAAAADRw/EP-XTHYf0NY/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0%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0956556550610″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0).JPG” ]
[pe2-image src=”http://lh5.ggpht.com/-fGmsPSlDrjI/U2s5KmwzhJI/AAAAAAAADSI/AQLCYz60tDo/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9%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0982022784146″ caption=”캐논 MF4780W (9).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9).JPG” ]
MF-4780W의 상단과 측면 그리고 밑면까지 운송과정에서 흔들림으로 인하여 손상이 우려되는 부분에는 여지없이 테이프로 고정처리되어 있습니다.
캐논 MF-4780W 고정테이프 제거와 카트리지 설치
디스플레이가 있는 본체 상단부를 들어올리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됩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YgryY6H2phE/U2s6gMqK0aI/AAAAAAAADSw/H17XdM6eeFc/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4%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2452484379042″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4).JPG” ]
열려진 공간에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공간을 막아주는 덮개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 부분도 개봉해 줍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Y1etron0IXQ/U2s6gUqIEPI/AAAAAAAADS8/nGg8J8_HOU0/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5%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2454631682290″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5).JPG” ]
카트리지 삽입커버를 벗겨내면 아래의 이미지처럼 보여지게 됩니다. 내부에 있는 스티로품과 안내 커버등을 완전히 제거해 줍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d45TVipYyfI/U2s6gLpbJ-I/AAAAAAAADS4/7JDVAfLXMpg/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6%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2452212819938″ caption=”캐논 MF4780W (16).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6).JPG” ]
[pe2-image src=”http://lh5.ggpht.com/-8sUQICDHioA/U2s6hSkYUgI/AAAAAAAADTI/__XRlyDzMy0/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7%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2471250579970″ caption=”캐논 MF4780W (17).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7).JPG” ]
제거된 안내 종이 커버는 한번 읽어보시고 쓸일이 없으므로 그냥 버리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카트리지를 설치할 기본 준비가 되었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SXFl2l_MxBg/U2s71aIWGUI/AAAAAAAADTs/w9FHijGptAY/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8%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3916389488962″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8).JPG” ]
카트리지는 위의 이미지처럼 생겼습니다. 하지만 바로 장착하시면 안되며 여기서도 제거해주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DqI6sn8whqs/U2s716rNUWI/AAAAAAAADTw/TCM5IGAJae4/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19%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3925125648738″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19).JPG” ]
호환 카트리지는 카트리지328 로 옆의 Starter 라고 표시된 부분은 최초 기본제공되는 카트리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카트리지 328은 최대 2100매 까지 사용가능한데 초기 기본제공되는 카트리지는 1,000매까지 사용가능하다고 합니다.
빨리 소진하고 새 카트리지를 구매하라는 친절한(?) 의도인것 같습니다. 괜한 기우일지 모르겠지만 인터넷에서 유난히 저렴한 카트리지 328 이 있어 구입했다면 혹시 Starter 라고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실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WMWsFbrXBKM/U2s71xy4SaI/AAAAAAAADT0/1kV6YLnDvfQ/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0%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3922741905826″ caption=”캐논 MF4780W (20).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0).JPG” ]
[pe2-image src=”http://lh4.ggpht.com/-zSxaYF8opfw/U2s8KS5DlYI/AAAAAAAADUU/rU8EeLUYNuY/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1%2525EB%2525B2%25258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4275223565698″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1번.JPG” ]
상기 카트리지 이미지에서 주황색으로 된 부분을 모두 제거해주셔야 합니다. 주황색 부분은 토너가루를 막아둔 부분으로 이 부분을 제거하시고 토너 카트리지를 좌우로 몇차례 흔들어서 토너가루가 고르게 퍼지도록 한 이후에 본체에 장착하셔야 합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gGU00TXL7Oc/U2s-j_CgSJI/AAAAAAAADUo/iLFTmJkR52Q/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2%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6915594340498″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2).JPG” ]
장착은 카트리지명이 표시된 부분을 전면에 두고 비스듬하게 삽입하면서 밀어넣으면 고정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정상 장착된 모습은 위의 이미지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캐논 MF-4780W 용지함과 출력 트레이 부분
캐논의 용지함은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는 구조가 아닌 특이한(?) 구조입니다. 주로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비니지스 복합기 제품을 사용하다 보니 좀 낯설게 느껴집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LOGCfP4PkJk/U2s_fnvY_2I/AAAAAAAADVY/US1Jtvtl8QE/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3%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7940132306786″ caption=”캐논 MF4780W (23).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3).JPG” ]
[pe2-image src=”http://lh5.ggpht.com/-K4QENakBzSY/U2s_feg4_xI/AAAAAAAADVE/qleg6WFJjO8/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4%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7937655570194″ caption=”캐논 MF4780W (24).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4).JPG” ]
앞으로 좀 더 나오기 때문에 MF-4780W 전면의 공간이 좀 더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투명 커버를 용지를 넣은 후 덮어주시면 됩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Rx3MezgPv0I/U2s_f4KkH3I/AAAAAAAADVU/G_HxQUB1JhM/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3%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7944541249394″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3).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jeYln_1f7UI/U2s_gcw5xFI/AAAAAAAADVc/IfuocIybWro/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4%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7954365727826″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4).JPG” ]
용지를 삽입한 후 투명커버를 덮어준 모습입니다.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다면 용지를 빼고 내부로 밀어넣어 공간을 확보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구입하기전에는 미처 확인하지 못했는데 인쇄물 받침대는 정말 마음에 안드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안정감도 없어보이며 전체적으로 제품이 부실해 보이는 느낌도 줍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w-3WXP–nok/U2tANLyZmwI/AAAAAAAADV0/gF99vAdFCLM/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5%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8722902719234″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5).JPG” ]
상기 이미지에서 약간 옆으로 나온 부분을 우측으로 당겨줍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0FBYNBQW7JI/U2tAN9ZN21I/AAAAAAAADWE/nZslGZw4rN4/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8%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8736218864466″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8).JPG” ]
[pe2-image src=”http://lh4.ggpht.com/-TY1FHOEiKUw/U2tAM4IZXII/AAAAAAAADV4/9GWRuwDqhXU/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6%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8717626268802″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6).JPG” ]
앞으로 나온 인쇄물 받침대가 보이실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인쇄된 종이가 날라가지 않도록 상하 받침대를 한번 더 올려주시면 인쇄물 받침대가 완성됩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oWJNEhqbbTI/U2tANQIKN7I/AAAAAAAADV8/g-tG37R0W-0/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7%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68724067727282″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7).JPG” ]
이 받침대를 이렇게 전면으로 빼내지 않고 1~2장 정도 인쇄할 경우는 종이가 날라다니지 않고 잘 고정이 됩니다. 하지만 5장이상 정도를 연속 출력하게 되면 종이가 날라다니므로 많은 량을 연속인쇄하실 때는 이 받침대를 빼놓으셔야 합니다.
한번은 잊어버리고 약 100페이지 정도를 연속인쇄했는데 순서가 흐트러져서 귀찮은일(?)이 벌어졌습니다.
상단 틸트 기능이 있는 MF-4780W 디스플레이 조작부
설치 위치에 따라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틸트(Tilt) 기능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조작부를 약간 비스듬하게 상향 조절하여 낮은 위치에 설치 되어 있을 경우도 쉽게 조작할수 있도록 한것입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u3bJ4iOV0Rs/U2tCgtUAvGI/AAAAAAAADXI/zQD11ZAzVuw/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31%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1257342835810″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31).JPG” ]
[pe2-image src=”http://lh5.ggpht.com/-zJIPFh2pPN4/U2tCgSjcfbI/AAAAAAAADXA/Pl0uxe42GCA/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30%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1250159812018″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30).JPG” ]
엄청난 기능(?) 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사용자의 조작편의성을 고려하면서 설계했다는 점에서 플러스 점수를 줄수 있는 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MF-4780W 디스플레이 부 구성
조작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패널은 5라인 LCD를 중심으로 하여 기능이 좌우로 분할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AwToPtHqP4A/U2tC8TLF5WI/AAAAAAAADXk/JgnrTtDF2xM/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29%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1731362440546″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29).JPG” ]
가장 좌측에는 복사 / 팩스 / 스캔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이 LCD 바로 옆에 위치하여 현재 동작모드 구분을 쉽게 확인하면서 LCD 정보창을 볼수가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SSXvAd_6n1Q/U2tC8mGfHBI/AAAAAAAADXo/hJ9l2JmX6yM/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32%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1736443395090″ caption=”캐논 MF4780W (32).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32).JPG” ]
LCD 부분에는 상하좌우 이동키와 처리상황을 판단할수 있는 스테이터스(status) LED가 장착되어 있어 LCD를 보면서 조작할 경우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kNYb-Vq_7Q8/U2tC8aGwN1I/AAAAAAAADXc/oHYbNHPXLBE/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33%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1733223290706″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33).JPG” ]
가장 우측은 팩스를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절전모드와 정음모드 선택버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절전모드는 특별한 설명이 필요없을 것 같으며 정음모드는 야간에 인쇄를 할 때 인쇄속도를 느리게 하여 소음을 줄여주는 모드라고 하겠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구형 잉크젯와 비교한다면 꽤 정숙합니다. 하지만 인쇄가 진행되는지 모를정도로 정숙한 것은 아니니 너무 큰 기대는 안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심야에는 기침만 해도 시끄럽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ddvsteb0iHw/U2tC9fxUT3I/AAAAAAAADXw/ml3zNbu6ymM/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2834%25252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1751923863410″ caption=”캐논 MF4780W (34).JPG” type=”image” alt=”캐논 MF4780W (34).JPG” ]
MF-4780W 동작 후 시간 및 무선랜 설정
이제 MF-4780W에 전원을 넣고 동작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3Q3_5vvrV3k/U2tFtJ4KBsI/AAAAAAAADYM/WQpBQoBVgGA/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C%25259A%2525A9%2525EC%2525A7%252580%2525EC%252582%2525BD%2525EC%25259E%252585.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4769703945922″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용지삽입.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FQH65YHHLNk/U2tFtWkhDNI/AAAAAAAADYU/teI6izSKD-c/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C%2525B9%2525B4%2525ED%25258A%2525B8%2525EB%2525A6%2525AC%2525EC%2525A7%252580%2525ED%252583%2525AD%2525EC%2525A0%25259C%2525EA%2525B1%2525B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4773111229650″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카트리지탭제거.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ebHR_w7v3f4/U2tFtsMwkiI/AAAAAAAADYY/PvmtqmV2peY/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D%252586%2525A0%2525EB%252584%252588%2525EC%2525BB%2525A4%2525EB%2525B2%252584.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4778917163554″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토너커버.JPG” ]
개인적으로 보통 가전제품이나 컴퓨팅 관련제품을 구입하면 사용설명서를 보지 않고 일단 조작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후 혹시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그때 사용설명서를 확인하는 편인데 5라인 한글 지원 LCD를 통해서 사용상 주의사항을 다시 한번 안내해주고 있습니다.
안내 메시지가 나올때 마다 확실하게 해두는 차원에서 다시한번 관련 부분을 확인해 봅니다. 다음을 계속 진행하면 현재 시간 설정이 나오게 됩니다. LCD 옆의 상하좌우 그리고 중앙의 OK 키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설정해 줍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Gf0X1RKB734/U2tGjBMzYJI/AAAAAAAADYw/89CLL4Dr1OQ/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C%25258B%25259C%2525EA%2525B0%252584%2525EC%252584%2525A4%2525EC%2525A0%252595.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5695087558802″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시간설정.JPG” ]
[pe2-image src=”http://lh4.ggpht.com/-D5z43eFhKAM/U2tGiPmY1nI/AAAAAAAADYo/PY4D-W30pX4/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C%25258B%25259C%2525EA%2525B0%252584%2525EC%252584%2525A4%2525EC%2525A0%2525952.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5681773098610″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시간설정2.JPG” ]
이제 MF-4780W 의 무선랜 설정만 마치면 모든 설치가 끝나게 됩니다. WPS 기능을 이용하면 매우 간단하게 무선랜 설정이 끝나게 됩니다. WPS 기능이 있는 무선공유기와 간단하게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iGvtpR65KS0/U2tH0la9rpI/AAAAAAAADZI/3kNhXybWMLM/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B%2525AC%2525B4%2525EC%252584%2525A0%2525EB%25259E%25259C%2525EC%252584%2525A4%2525EC%2525A0%252595.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7096380034706″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무선랜설정.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zAAVyEF3IiY/U2tHy8Wjo_I/AAAAAAAADZA/zBNEfLHA-UY/s144-c-o/%2525EC%2525BA%252590%2525EB%252585%2525BC%252520MF4780W%252520%2525EC%252584%2525A4%2525EC%2525A0%252595%2525ED%252599%252595%2525EC%25259D%2525B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5#6010977068175827954″ caption=” ” type=”image” alt=”캐논 MF4780W 설정확인.JPG” ]
무선랜 설정화면에서 “WPS 푸시버튼 모드” 를 선택해줍니다. 이후 무선공유기에 장착된 WPS 버튼을 눌러준 후 MF-4780W으로 돌아와 확인을 눌러주면 무선랜 설정이 끝나게 됩니다.
누구나 쉽게 WPS 버튼을 이용하면 쉽게 무선랜 설정이 가능합니다. 만약 공유기등이 재부팅되어 리셋되면 같은 방식으로 다시 연결해주면 되겠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CD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하신 후 테스트 프린팅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