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10월 3일 독일은 서독과 동독으로 갈려져 있던 나라가 하나로 통합되었습니다.
하지만 급작스러운 통일은 당시 동독의 주요 산업들이 거의 대부분 붕괴되고 서독으로 흡수되는 방향으로 정리됩니다.
거의 대부분의 동독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 못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자동차 산업도 예외는 아니였습니다.
통일 직전 동독을 대표하는 자동차는 바로 트라비(Trabi) 였습니다. 현재도 약 5만대가 등록되어 애호가들이 소장하고 있을 정도로 당시 동독에서는 높은 인기를 얻고 있었다고 하겠습니다.
통일과 동시에 붕괴되버린 동독 자동차 산업
하지만 당시 서독에는 세계시장에서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벤츠, BMW , 아우디등 쟁쟁한 자동차 기업들이 버티고 있었습니다.
구식 트라비(Trabi)가 설 자리는 없었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mNJeJLW-_nE/U1zK21CiDlI/AAAAAAAAC4E/aiu9uisU_k0/s144-c-o/%2525ED%25258A%2525B8%2525EB%25259D%2525BC%2525EB%2525B9%252584.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46304845394″ caption=”” type=”image” alt=”트라비.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p58PEaxqZEU/U1zK01FqqzI/AAAAAAAAC3k/tkqCYareb9o/s144-c-o/%2525EB%2525B2%2525A4%2525EC%2525B8%2525A0560SEC.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11958254386″ caption=”” type=”image” alt=”벤츠560SEC.jpg” ]
상세한 세부 설명이 없더라도 위의 트라비(Trabi)사진과 벤츠의 자동차 이미지를 비교해 본다면 기술력의 차이를 확연하게 알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독일 자동차의 대명사였던 벤츠를 좌절시킨 동독 자동차 브랜드가 있습니다. 바로 멀티카(Multi Car) 입니다.
소형 다목적 상용차시장에서 벤츠와 경쟁한 멀티카
벤츠의 상용차 브랜드는 유니목(Unimog)으로 세계최고의 기술력과 잔고장없이 강력한 파워를 자랑하는 브랜드였습니다. 이 때문에 동독의 상용차 브랜드인 멀티카(Multi Car)역시 경쟁에 밀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0naZWlDW7_c/U1zK2Npb6vI/AAAAAAAAC30/NFmaOXgyYIE/s144-c-o/%2525EB%2525B2%2525A4%2525EC%2525B8%2525A0%2525EC%25259C%2525A0%2525EB%25258B%252588%2525EB%2525AA%2525A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35730602738″ caption=”” type=”image” alt=”벤츠유니목.jpg” ]
서두에서 비교해드린 트라비(Trabi)와 벤츠 자동차의 비교사진처럼 외형적으로 보았을 때도 벤츠의 상용차인 유니목과 멀티카는 도저히 상대가 되어 보이지 않습니다.
[pe2-image src=”http://lh6.ggpht.com/-NRwpGOl2YqE/U1zK0412iII/AAAAAAAAC3o/lXXj4ytvHNo/s144-c-o/%2525EB%2525A9%252580%2525ED%25258B%2525B0%2525EC%2525B9%2525B4_01.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12965664898″ caption=”” type=”image” alt=”멀티카_01.jpg” ]
[pe2-image src=”http://lh5.ggpht.com/-llXCFKOHyec/U1zK2N14TaI/AAAAAAAAC34/WFh2FPD7KuI/s144-c-o/%2525EB%2525B2%2525A4%2525EC%2525B8%2525A0%2525EC%252583%252581%2525EC%25259A%2525A9%2525EC%2525B0%2525A8.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35782794658″ caption=”” type=”image” alt=”벤츠상용차.jpg” ]
1990년 통일 이후 1년만에 멀티카는 민영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당시 민영화되었던 대부분의 기업들은 서독 기업인들에게 넘어가게 되었지만 멀티카는 당시 멀티카에서 근무했던 직원들이 인수하여 흔하지 않게 동독 민영화 기업에 포함되게 됩니다.
하지만 멀티카에는 커다란 문제가 있었는데 가장 큰 문제는 1930년 기술수준으로 만들어진 구식 엔진이였다고 합니다. 100km 주행에 20리터를 소비하여 효율이 형편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매우 빠른 속도로 멀티카에서 낙후된 부품들을 개선하고 약점을 보완해 나갔습니다. 그럼에도 멀티카가 벤츠의 유니목(Unimog)과의 경쟁에서 이길것으로 믿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벤츠를 좌절시키는 기적을 일으킨 멀티카(Multi Car)
하지만 멀티카는 벤츠의 상용차인 유니목(Unimog)이 가지고 있지 못한 강력한 장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저렴한 가격과 매우 작은 크기라는 점입니다.
저가의 소형 다목적 상용차라는 특성을 집중적으로 파고 든것입니다. 이러한 멀티카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장은 벤츠에게도 관심의 대상이였습니다.
벤츠 유니목 UX100 소형 다목적 상용차
마침 군수시장의 축소로 유니목(Unimog) 상용차 매출이 하락세였기 때문입니다. 결국 벤츠는 멀티카를 모방(?)하여 유니목 UX100 이라는 소형 다목적 상용차를 생산합니다.
당시 생산된 상용차중 가장 크기가 작았으며 전체적인 기능이나 성격이 멀티카와 매우 유사합니다.
하지만 벤츠의 첫번째 소형 다목적 상용차인 UX100은 다양한 문제와 결함을 보였고 결국 1998년 멀티카가 해당 모델을 매입하게 됩니다. 소형 다목적상용차 시장에서 벤츠와의 경쟁에서 이긴것입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WQOkCoWbN-M/U1zK2E40mBI/AAAAAAAAC4I/MwNpRCWcx8I/s144-c-o/%2525EB%2525B2%2525A4%2525EC%2525B8%2525A0%2525EC%25259C%2525A0%2525EB%25258B%252588%2525EB%2525AA%2525A9_01.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33379215378″ caption=”” type=”image” alt=”벤츠유니목_01.jpg” ]
벤츠는 U300/400/500 모델을 다시 내놓으면서 멀티카와 경쟁중인 상황
또한 트레모(TREMO)라는 또 다른 경쟁사 모델까지 인수하면서 소형 다목적 상용차에서 선도적 위치에 서게 됩니다.
멀티카의 변형 옵션은 무려 130종류 이상으로 다양한 변형을 통해서 다용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현재 생산량의 50%는 서독 지역을 비롯하여 해외수출이 되고 있으며 약 50%는 (구)동독지역에서 매출이 이뤄진다고 합니다.
이후 1998년 토지관련 회사인 하코(Hako) 그룹이 멀티카에 자본투자를 진행하면서 지분 90%를 확보하면서 현재 더욱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frV1hg0JqKY/U1zK0_EFCjI/AAAAAAAAC3g/osZCIUytjPg/s144-c-o/%2525EB%2525A9%252580%2525ED%25258B%2525B0%2525EC%2525B9%2525B402.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4#6006899014635948594″ caption=”” type=”image” alt=”멀티카02.jpg” ]
앞으로도 계속 멀티카가 성공적인 모습을 이어나갈것인지는 아직은 미지수라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가능에 가깝게 보일뿐 불가능한 일은 없다는 것을 동독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동차 브랜드인 멀티카(Multi Car)가 보여주고 있는것이 아닌가 합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