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6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석좌교수로 재직했던 이론물리학자 스티브호킹박사가 한 TV채널에 출연하여 언급한 내용이 국내에서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스티브호킹박사는 32세이던 1974년 가장 젊은 회원으로 영국 왕립협회 회원으로 추대될 만큼 이분야에서 명성을 널리 알리고 있는 인물입니다.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인 스티브호킹박사가 당시 TV채널에서 언급한 내용은 “향후 50년안에 인류가 달에 정착할것이며 2100년경에는 화성에서도 생활하게 될 것이다” 라는 내용이였습니다.
Live from space – Lap of the planet 이라는 우주생중계방송(* 우주비행사들과 생방송으로 연결하여 진행되는 방송)에서 언급한 관련 내용에 대한 뉴스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궁금해진 부분이 있습니다.
정말 50년 내로 달에서 살아갈수 있을까? 그리고 현재 달에서 정착하여 살아가기위한 기술은 과연 어느정도 수준일까?
한정된자원의 지구는 위험, 결국 “플랜B”로 달에 정착지 건설
[pe2-image src=”http://lh4.ggpht.com/-KDo8yAgNJyI/UzE-kn7cnCI/AAAAAAAACBA/9LkqEh86i1I/s144-c-o/%2525EC%25258A%2525A4%2525ED%25258B%2525B0%2525EB%2525B8%25258C%2525ED%252598%2525B8%2525ED%252582%2525B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1377921375266″ caption=”” type=”image” alt=”스티브호킹.jpg” ]
스티브호킹박사는 현재 지구는 끝없이 늘어나는 인구 그리고 자원고갈 문제로 인하여 위험해지고 있으며 결국 플랜B(우주식민지개척 , 달)이 필요하며 향후 50년안에는 달 그리고 향후 100년안에는 화성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uXH_nRjPK18/UzE-ktDfxyI/AAAAAAAACBE/hzMV_LtxvmI/s144-c-o/%2525EB%25258B%2525AC%2525EC%2525A0%252595%2525EC%2525B0%2525A9%2525EC%2525A7%252580%2525EC%252583%252581%2525EC%252583%252581%2525EB%25258F%252584.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1379297314594″ caption=”” type=”image” alt=”달정착지상상도.jpg”]
혹시 저처럼 향후 50년뒤에 인류가 정착하게될 달 도시의 이미지를 위의 이미지처럼 상상하셨나요?
하지만 현재 현실적인 달정착지 또는 달기지 건설에 따른 기술수준을 확인해본다면 위의 상상도 처럼 멋진 달정착지가 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다음은 우주개발과 관련되어 가장 현실적인 상황파악및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NASA에서 현재 연구중인 달기지 상상이미지입니다.
[pe2-image src=”http://lh3.ggpht.com/-nZDmj3lNG1A/UzE-itHv4BI/AAAAAAAACAw/71DWHjivakM/s144-c-o/NASA%2525EB%25258B%2525AC%2525EA%2525B8%2525B0%2525EC%2525A7%25258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1344955408402″ caption=”” type=”image” alt=”NASA달기지.jpg” ]
(이미지 자료 출처 : NASA)
무언가 상당히 초라해 보이는 상상도입니다. 좀더 현실적인 부분으로 이러한 상상도속의 상황을 지구상에서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NASA에서 만든 모형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pe2-image src=”http://lh4.ggpht.com/-ZKE-CEf4t3w/UzE-isXk0YI/AAAAAAAACAs/vTVkPb9NmEo/s144-c-o/NASA%2525EB%25258B%2525AC%2525EA%2525B8%2525B0%2525EC%2525A7%2525802.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1344753357186″ caption=”” type=”image” alt=”NASA달기지2.jpg” ]
[pe2-image src=”http://lh6.ggpht.com/-fvVg9elcIgU/UzE-ivtWeII/AAAAAAAACAk/IGM1AOo-Ihw/s144-c-o/NASA%2525EB%25258B%2525AC%2525EA%2525B1%2525B0%2525EC%2525A3%2525BC%2525EC%2525A7%252580%2525EC%2525A3%2525BC%2525EA%2525B1%2525B0%2525EA%2525B3%2525B5%2525EA%2525B0%252584.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1345649997954″ caption=”” type=”image” alt=”NASA달거주지주거공간.jpg” ]
(이미지 자료 출처 : NASA)
실제로 장시간에 걸쳐 고도의 훈련을 받은 우주비행사들 정도나 일정기간 거주가 가능할 것 같은 협소한 느낌입니다. 물론 저런 구조물을 여러개 덧붙여도 불편하기는 매한가지일것 같습니다.
달에서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은?
지구와 달리 달에서 사람들이 살아갈 경우 가장 먼저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자외선이라고 합니다. 대기층의 보호로 태양 이나 우주로 부터 투사되는 해로운 자외선이 상당부분 걸러지는 지구와 달리 달에는 대기층이 없기 때문입니다.
조건 1 : 태양 및 우주로 부터 투사되는 자외선 차단 문제
따라서 가장 먼저 태양 및 우주에서 투사되는 자외선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달에 있는 모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만들고 이 콘크리트를 통해서 자외선을 막는 방법을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rgSE5_LKziM/UzE-kn-9VSI/AAAAAAAACBY/nP7wx8nKwi8/s144-c-o/%2525EB%25259F%2525AC%2525EC%25258B%25259C%2525EC%252595%252584%2525EB%25258B%2525AC%2525EA%2525B8%2525B0%2525EC%2525A7%252580.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1377936102690″ caption=”” type=”image” alt=”러시아달기지.jpg” ]
이러한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하는 방식은 NASA가 생각하고 있는 지상노출형이 아니라 러시아에서 생각한 지하 매립형 달정착지가 보다 대규모 정착지 건설에 적합하지 않을까 합니다.
조건 2 : 생존에 필수적인 물과 산소의 해결
그다음의 문제는 물 그리고 산소입니다. 사람이 생존하는데 있어 물과 산소는 필수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매번 지구에서 수송용로켓을 달로 쏘아보내 운반한다는 것은 소수의 인원을 위한 목적외에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것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인원이 달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현지(달)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다행히도 달에는 얼음이 많기 때문에 이 얼음들을 활용하여 물과 산소를 생성해낼수 있다고 합니다.
조건 3 : 신선한 먹거리인 채소와 식용동물등 의 공급
달에서는 자연상태에서 식물이 자랄수 없습니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다양한 영양분을 공급할수 있는 식물공장(Plant Factory)을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식물공장은 건물에서 먹을수 있는 작물을 기르는 공장을 의미하며 현재 기술수준은 영하 40도에서도 식용이 가능한 채소와 밀폐사육에 적합한 물고기, 닭 &오리등의 동물들의 사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일단 현재 기술로 1개 소도시 규모 정도의 대규모 달정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남극기지정도의 100명 정도 수준의 거주인력이 달에 정착하는 것은 가능해 보입니다.
만약 스티브 호킹박사가 이러한 정도의 의미로 달정착을 이야기했다면 이것은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pe2-image src=”http://lh5.ggpht.com/-6Lxhupm32AM/UzFCDOvfN4I/AAAAAAAACBs/Qas8X4cEDiU/s144-c-o/%2525EC%25258A%2525A4%2525ED%25258B%2525B0%2525EB%2525B8%25258C%2525ED%252598%2525B8%2525ED%252582%2525B9%2525EA%2525B3%2525BC%2525EC%252598%2525A4%2525EB%2525B0%252594%2525EB%2525A7%252588%2525EB%25258C%252580%2525ED%252586%2525B5%2525EB%2525A0%2525B9.jpg” href=”https://picasaweb.google.com/102394476629197694908/201403#5994645202271156098″ caption=”” type=”image” alt=”스티브호킹과오바마대통령.jpg” ]
이미 미국은 물론 러시아, 중국등이 2020년경을 목표로 하여 달 유인기지 건설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계획은 달에서 우라늄이 발견되는등 가치가 높은 다양한 광물들이 존재하고 있어 개발필요성과 자원선점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는 이유로 준비되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된 기술보다 수단계를 갑자기 뛰어넘는 혁신적인 퀀텀점프 기술이 발견된다면 보다 빠른시간내에 소도시 규모의 달 정착이 가능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