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새로운 검색엔진인 허밍버드를 발표하면서 또 한번 향상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던진 질문에 대해서 잠재적인 목표까지도 고려하여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는 구글의 허밍버드.
구글의 검색서비스 시작과 최근 선보인 허밍버드까지의 과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Key 1 ▶ 구글의 최신 검색엔진 허밍버드(Hummingbird) 이야기
1997년 9월 4일 구글의 검색서비스가 시작됩니다. 스탠포드대학의 BackRub 라는 서버에서 검색엔진을 호스팅했고 “10의 100제곱” 이라는 의미를 가진 수학용 ‘googol”을 변형하여 Google 이라는 이름으로 이 검색엔진의 이름을 정한것입니다.
이후 10년이 지난 2007년 5월 16일 한대학의 실험적인 검색엔진으로 출발한 구글은 웹,이미지,뉴스,지도,지역정보,동영상등 모든 컨텐츠소스를 기반으로 통합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유니버셜 검색으로 진화하게 됩니다.
이렇게 작은 시작에서 점점 진화해온 구글 검색엔진은 창립 15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검색 알고리즘인 허밍버드를 공개하게 됩니다. 기존의 키워드 중심에서 사람이 던지는 질문과 비슷한 자연어 검색에 보다 다가서게 된것입니다. 자연어 검색은 모든 검색엔진이 목표로 하는 분야일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어 검색 프로젝트는 네이버 역시 준비중입니다.
이러한 허밍버드 검색엔진은 문장의 개념을 이해하는 자연어 검색에 가까워졌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자이언트블로그 주소를 검색해죠?” 라는 문장을 검색해보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기존의 키워드 중심의 검색이였을 경우 문자의 각 키워드를 분해하여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자이언트블로그 , 자이언트,블로그 , 검색 등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각각 검색하여 관련순으로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자연어 검색인 경우는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값을 예측하여 www.giantt.co.kr 을 검색결과 최우선에 보여주는 개념이라고 하겠습니다. 이러한 자연어 검색의 경우는 음성 검색의 사용빈드가 올라갈수록 더욱 진가를 발휘하게 될 것이므로 당연히 차세대 검색개념이라고 하겠습니다.
가장 진보한 검색엔진이라고 평가받는 구글이라고 할지라도 끊임없는 혁신과 변화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것입니다.
◎ GIANTT : 허밍버드는 “벌새” 라는 뜻입니다. 매우 빠른속도로 날개를 흔들어 정지비행을 할수 있는 새입니다. 구글도 벌새가 하는 매우 빠른 날개짓 처럼 매우 빠른속도로 검색을 하겠다는 의미일까요?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