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오픈캐스트는 뭔가요?
네이버 오픈캐스트는 웹진의 개념과 메타블로그의 개념을 섞어놓은듯한 네이버만의 서비스입니다.
네이버블로그에서의 역할로 한정짓자면 내 블로그의 글을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4개 또는 8개의 묶음으로 엮어 웹진처럼 발행하게 됩니다.
내블로그의 포스트를 외부로 모아서 발행하는 부분은 메타블로그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자동으로 발행되는 다른 메타블로그와 다르게 발행하는 개념은 웹진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② 블로그활성화 첫걸음! 네이버 오픈캐스트
네이버의 오픈캐스트는 블로그를 활성화시키는 첫걸음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블로그 대부분 특정한 카테고리 주제를 중심으로 운영이 됩니다. 자이언트블로그의 경우는 IT 블로그로 구분될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역으로 분류된 특정주제의 글들을 모아서 발행하는 것은 해당 분야에 원천적으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검색으로 유입되는 방문자에 비해서 고정 방문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방문자수 유지를 검색 유입에만 의존하다 보면 포스팅을 하지 않으면 방문자수가 급격하게 하락하게 됩니다.
거의 대부분이 고정방문자가 아닌 일시적 방문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정방문자수를 일정비율이상 확보하고 있다면 포스팅을 하지 않더라도 일정수 이상의 방문자는 유지되게 됩니다.
이러한 고정방문자 확보의 첫걸음중 하나가 바로 오픈캐스트 발행이라고 하겠습니다. 내 블로그를 활성화 시키고 싶다면 오픈캐스트를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뷰와 함께 오픈캐스트는 가능하다면 운영하시는것이 좋습니다.
③ 네이버 오픈캐스트 개설절차는?
네이버 오픈캐스트 개설 절차는 생각처럼 까다롭지 않습니다. 가장 먼저 네이버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아래 화면의 오픈캐스트를 클릭합니다.
이후 나타나는 오픈캐스트 메인화면을 보시면 상단에 3개의 탭메뉴가 있습니다. 이중 “개설하기”를 클릭해 줍니다.
다음단계인 이용약관 확인은 각 체크박스에 체크를 한후 이동합니다. 약관을 꼼꼼하게 보실 분들은 스크롤하여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개설절차에서 가장 입력해야할 양이 많은 “정보입력 및 추천요청 메일 발송 절차”가 남아있습니다.
추후 수정할수 있지만 오픈캐스트 제목과 카테고리는 1개월 이후에 변경이 가능하므로 조금 고민을 해보셔야 합니다.
가장 개설시 걸림돌이 되는 단계는 사실 5명의 추천동의라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족이나 친구들을 합쳐서 5명 이상의 지인은 있으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간단하게 메일을 보내 추천동의를 얻습니다. 네이버메일이 아니여도 관계없습니다.
5명이 추천동의를 모두 해준다면 자동으로 캐스트 개설이 완료되었다는 이메일이 도착하게 됩니다. 이제 네이버오픈캐스트가 개설되었고 본격적으로 운영이 가능해진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좀 더 빠르게 추천동의를 받고 싶다면 추천인 추가 버튼을 눌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메일을 보내면 됩니다.
누가 먼저하든 상관없이 5명만 채워지면 추천인동의절차가 종료됩니다.
지인들이 외부에 있거나 컴퓨터를 사용할수 없는 환경도 있으므로 10명정도에게 메일을 보내시면 거의 당일 개설이 가능해 집니다.

오픈캐스트가 개설되면 썸네일 이미지 수정과 발행주기, 출처, 운영취지등을 편집하여 발행되는 오픈캐스트에 대한 신뢰도를 조금이라도 높여줍니다.
특히 발행주기는 발행되는 날짜 나 시간등을 사전에 공지하는 것으로 이시간을 가급적이면 준수하여 확보된 고정독자들에게 신뢰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