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최대 쇼핑시즌이라는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네이버에서도 실시간 검색상위에 아마존 쇼핑 등의 키워드가 급상승하며 국내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미국의 최대 쇼핑시즌이지만 요즘처럼 해외구매 쇼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는 국내에서도 영향을 받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싸게 제품을 구매할수 있다는 것 이외에 IT 시장규모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월마트 단 1개의 대형매장에서 추수감사절인 11월 28일 단 하루동안 140만대의 태블릿을 팔았다고 합니다.
2012년 국내 태블릿 시장 전체의 시장규모는 IDC 추정으로 약 126만대 수준인데 시장규모의 차이를 실감할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왜 애플이 한국을 1차 출시국가로 굳이 집어넣지 않는지 또 미국에서 출시되는 IT제품들과의 가격차가 발생하는지 이유를 짐작케하는 시장규모의 차이입니다.
이렇게 대단한 미국의 시장규모와 블랙프라이데이의 위력을 보고 있지만 더 놀라운 것은 중국의 IT 시장의 성장세라고 할수 있습니다. 중국의 블랙프라이데이라고 할수 있는 광군제(*11월 11일) 이야기를 해드릴까 합니다.
Key 1 ▶ 중국의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光棍節) 이야기
중국의 블랙프라이데이라고 할수 있는 광군제(光棍節) 의 시작은 블랙프라이데이처럼 쇼핑을 하는 기념일이 아니라 솔로인 남녀들이 만나는 한국의 빼빼로 데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출발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쇼핑몰들의 할인행사가 이날 집중되면서 2013년 11월 11일 의 광군제(光棍節) 쇼핑판매액은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까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정도 성장속도라면 2014년은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온라인 쇼핑몰 매출액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광군제(光棍節) 의 2009년 온라인 쇼핑몰 매출액 규모는 약 5,000위안 수준이였지만 3년만에 381배 증가하여 올해에는 300억위안(약 5조 2000억원) 읜 온라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산하 쇼핑몰의 집계를 보면 광군제(光棍節) 할인 행사를 시작하고 약 6분뒤에 10억위안(원화 약 1,760억원)를 돌파했습니다.
광군제(光棍節) 당일 약 2억명이 온라인 쇼핑에 동시에 참여했다고 하니 대단한 시장규모가 아닐수 없습니다.
더구나 광군제(光棍節) 의 경우 영어가 아닌 중국어를 기반으로 한 중국내 쇼핑몰매출이기 때문에 해외매출도 같이 포함되는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보다 더 대단하다고 하겠습니다.
◎ GIANTT : 엄청난 중국 내수 시장의 규모 그리고 향후 성장세를 보이게 될 중국 온라인시장의 파워를 보여주는 일면이 바로 광군제(光棍節) 사례가 아닌가 합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