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악성앱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mobogenie 라는 악성앱은 특히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mobogenie 안드로이드 악성앱은 기존의 악성앱들과는 전혀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도 악성앱들은 존재했지만 사용자가 실수로 다운로드 하는등의 액션을 해야 설치가 되는 방식이였습니다. 하지만 mobogenie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기만 해도 다운로드되는 신종 악성앱이기 때문입니다.
mobogenie가 설치되면 mobogenie 1501.apk 라는 명칭으로 설치가 되게 됩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11월달 대대적인 감염이 발생하여 NHK등에서도 다뤄진 꽤 유명한 악성앱입니다.
Key 1 ▶ 안드로이드 악성앱 “mobogenie” 자동다운로드 주의
현재 국내에서도 안드로이드 악성앱 “mobogenie”에 감염된 사례가 있어 특히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감염경로는 단순히 웹사이트를 방문하기만 해도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감염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염된 상황인지도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안드로이드 악성앱 “mobogenie” 는 현재까지 다운로드 된 이후로 정보유출 , 해킹등의 피해를 주고있지는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언제든지 악의적인 활동에 이용될수 있고 스마트폰의 성능저하를 일으키는 요소가 될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감염여부는 mobogenie 1501.apk가 스마트폰에 있는지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1501.apk는 표준형이며 1501이라는 숫자는 다른 숫자로 바뀌어져 보여질수도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자동표시되는 광고 , 웹사이트 탐색중에 자동다운로드 되므로 스마트폰의 보안설정을 변경하여 예방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다운로드 설정은 표준으로 되어 있는데 “설정 – 보안 – 출처를 알수 없는앱(또는 알수없는 소스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허용안함” 으로 해두셔야 합니다.
(* 안드로이드 버전에 따라서 약간씩 이름이 다를수 있으며 “허용안함”이 기본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 GIANTT : 신뢰성있는 사이트에서도 감염된 사례가 있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