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19일 밤 10시를 기점으로 GTX1060의 엠바고가 해제되면서 기다렸다는듯이 주요 미디어에서 사전에 준비된 GTX1060 관련 리뷰 & 테스트자료등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일본 아키하바라 일부 매장에서는 야간판매까지 개시하는등 GTX1000 시리즈중 가장 낮은가격대인 30만원대~40만원대 선 그래픽카드인 GTX1060에 대한 기대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열악해진 PC 시장 환경에서는 GTX1060이 가뭄의 단비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큰것입니다. AMD의 신모델인 RX480과 주 경쟁상대가 될 GTX1060 그리고 먼저 출시된 GTX1080 , GTX1070의 레퍼런스 기준 스펙의 차이점을 그래프로 한눈에 비교해 보실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소개해드립니다.
코어클럭은 GTX1080이 1607MHz로 가장 높으며 RX480이 1120MHz로 가장 낮은 코어클럭을 보여줍니다.
코어클럭과 마찬가지로 부스트클럭 역시 코어클럭 동작순서와 동일합니다.
메모리 클럭의 경우 GTX1080을 제외하고는 모두 8Gbps로 동일합니다.
메모리 비트는 GTX1060만 192 bit로 가장 낮은 스펙을 보여주었고 다른 칩셋들은 256 bit로 동작됩니다.
메모리 용량 역시 GTX1060만 6GB이며 다른 칩셋들은 8GB의 메모리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조공정의 경우 FinFET 공정을 적용한 것은 모든 칩셋이 동일하며 RX480의 경우 가장 높은 집적도를 보이는 14nm 공정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전력소모수치인 TDP를 비교해보면 AMD 가 그동안 NVIDIA에게 왜 밀려왔는지를 짐작하게 합니다. RX480은 가장 낮은 공정인 14nm 공정이며 동작 클럭역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TDP에서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한단계 윗급모델이라고 할수 있는 GTX1070과 동일한 GTX1070의 150w 수준의 TDP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적화 관련 기술부분에서 아직 좀 더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소모전력이 높을수록 발열은 좀 더 증가하게 되며 발열량에 따라서 좀 더 고급(=비싼) 쿨러 나 히트싱크 그리고 관련 부품등을 추가로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은 전체 그래픽카드의 제조원가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습니다.
또 소모전력이 높을수록 좀 더 고성능의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해야 하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파워서플라이를 업그레이드 하지 않고 기존의 파워서플라이를 그대로 사용할수 있는 그래픽카드를 선호하게 됩니다.
가격등 다른요소를 무시하고 성능만을 높이는 설계는 쉽지만 상업성과 시장장악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TDP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AMD는 성능 & 소모전력 억제 라는 하드웨어적인 목표도 이뤄야 하고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NVIDIA 시장을 빼앗기 위한 경쟁력있는 제조원가까지 만들어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는 것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