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PC를 만들기 위해서 사전에 부품 견적을 뽑아보면 거의 대부분 저장장치에서 SSD를 포함하게 됩니다. 과거에 비해서 SSD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성능이 좋은 SSD를 메인작업용으로 사용하고 저장공간이 좀 더 필요한 경우만 HDD를 서브 저장용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컴퓨터 부품에 대한 관련 지식이 거의 없더라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황입니다. SSD vs HDD 를 비교하면 SSD가 성능이 더 좋다는 것을 거의 대부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입니다.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M.2 SSD는 구형 SATA3방식 M.2가 아닌 NVMe 방식 M.2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질문을 바꿔서 M.2 SSD vs SATA SSD 의 성능은? 이라고 물어보면 아직도 90% 정도 분들은 잘 모른다고 답할 것 같습니다.
또 성능차이의 단계가 아닌 M.2 ? 아니면 SATA? 이렇게 생각하실 분도 상당히 있을 것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하면 매우 복잡하지만 간단하게 생각하면 매우 간단하게 풀리는 문제입니다. M.2 또는 SATA 의 기술적인 특성이나 내용들은 잠시 잊어버리시고 USB같은 인터페이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핵심은 M.2 또는 SATA 방식을 채용한 SSD 의 성능차이는 과연 얼마나 있는지 입니다.

먼저 M.2 SSD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위의 이미지와 같은 모습입니다. 마치 시스템 메모리를 보는 느낌이지만 250GB 용량의 SSD입니다.

기존에 알고계신 SSD는 위의 2.5인치 SSD 였을 것입니다. M.2 방식 SSD는 M.2 슬롯에 꼽게 되고 위의 2.5인치 SSD는 기존 HDD 처럼 SATA 포트에 꼽게 됩니다.
그럼 성능은 어떻게 될까요?

놀라지 마세요! M.2 SSD가 SATA 방식 SSD에서 거의 50% 이상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쓰기 성능 역시 SATA SSD 대비 M.2 SSD가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기 테스트는 플렉스터 M.2 M6e 256GB SSD 와 플렉스터 M5S 256GB SSD의 성능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동일 제조사의 제품을 비교하여 나름 객관적인 자료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상기 성능 테스트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는 하드웨어 사이트인 나우퍼그 링크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M.2 슬롯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는 비싸잖아요?
맞습니다. M.2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는 최근 갑자기 나온것이 아니고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다만 비교적 고가형 메인보드 제품들에만 채용되어 고성능 시스템을 꾸미는 사람들에게만 의미가 있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ASUS B150-M/M.2 STCOM 메인보드 처럼 2세대 B150칩셋 메인보드 제품군들이 선보이면서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기존의 10만원 후반대~ 20만원대 초중반의 중고급형 메인보드가 아닌 9만원대선의 가성비 좋은 제품군에서도 M.2 슬롯을 지원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네이버지식쇼핑과 다나와에 등록된 B150M-A/M.2 STCOM 메인보드 가격대
9만원대 가격대라면 크게 부담없이 구매 가능한 가격대인데 기존 M.2 슬롯 지원되지 않는 모델과 비교하여 가격차이가 크지 않아서 M.2 SSD가 보다 빠르게 대중화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조립컴퓨터에 SSD를 사용하실 계획이 있다면 M.2 SSD를 고려해 보시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Update 2016-07-27 :
NVMe 방식 M.2 SSD를 기준으로 글을 작성했는데 SATA방식 M.2 SSD 와 NVMe방식 M.2 SSD가 혼동될수 있다는분들이 계시네요. 이글에서 표현된 M.2 SSD는 NVMe 방식을 의미합니다.
https://namu.wiki/w/NVMe
NVMe 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상기 링크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Update 2018-03-06 :
NVMe 방식 M.2 SSD를 생각하고 계시다면 어떤점을 고려해야 할까요? 가격, 성능, AS기간 , 낸드플래시 타입 등등 다양한 요소가 있을 것입니다.
한계점에 부딪힌 SATA3 SSD와 다르게 NVMe SSD는 지속적으로 성능이 향상되어 처음 이 포스트를 작성했을 때 보다 성능격차는 훨씬 더 벌어져 있습니다.
최근 SSD 제품군은 일단 3~5년 정도의 AS 기간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낸드플래시 타입도 기술발전으로 선택 우선순위에서 제외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결론적으로 3D 렌더링이나 전문적인 작업용으로 추천드릴만한 제품과 게임등 일반사용자에게 추천드릴 만한 2개 제품을 추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가격은 수시로 변하므로 참조정도로 보시면 되겠으며 가격비교 사이트인 다나와 자료를 기준으로 소개해드립니다.
전문 작업용 추천제품 : 삼성 960 PRO 512GB (상세정보 보기)
NVMe SSD 제품군 중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제품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최대읽기속도가 무려 3,500MB/s로 SATA3 방식 SSD는 물론 NVMe 방식 SSD 제품군 중에서도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겠습니다.
다만 전문작업용으로 선보인 만큼 대중적인 용량인 256GB 제품이 없고 512GB 급 부터 시작한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리고 성능만큼 비싼 가격도 아쉬운 부분입니다. 512GB 용량으로 약 38만원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18-03-06 가격 기준)
하지만 가격과 상관없이 최고의 성능을 원한다면 삼성 960 PRO 512GB가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게임등 일반용 추천제품 : XPG GAMMIX S10 256GB (상세정보 보기)
성능과 가격의 밸런스가 최적화된 제품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구형 SATA3 SSD 제품들과 비교하여 성능 대비 큰 가격차이 없는 부분이 포인트인 제품이라고 하겠습니다. 12만원대 초반선으로 크게 부담없는 가격대 입니다. (2018-03-06 가격 기준)
최대읽기속도가 1,370MB/s로 일반적으로 최대읽기속도 550MB/s 수준에 머무르는 SATA3 SSD 제품과 비교하여 약 3배 정도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게임등 일반용도라면 더 빠른 속도를 보여주어도 체감적으로 느끼기 힘들어 성능면에서도 만족도가 높을 것입니다. 또 NVMe 의 고속동작 특성상 발열이 생기는데 이부분에 대응하기 위해서 디자인까지 신경쓴 프리미엄급 방열판이 기본장착된 점도 장점이라고 하겠습니다.
Update 2018-05-30 :
게임등 일반용으로 추천드렸던 GAMMIX S10의 후속모델인 GAMMIX S11이 출시됬네요. 최대읽기속도 3,200MB/s 으로 전작대비 최대읽기속도가 2배 이상 향상되었음에도 가격상승폭은 매우 미미하여 가성비가 더욱 높아졌습니다.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게임등 일반용 추천제품 : XPG GAMMIX S11 240GB (상세정보 보기)
삼성은 970 시리즈, WD은 Black 3D 제품군등 신모델을 선보였지만 전작 대비 가격상승폭 너무 높아서 해당 제품들보다는 상대적으로 XPG GAMMIX S11 을 더 추천드릴수 있겠습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
15 Comments
지나가다
기사를 쓸려면 정확하게 써야죠. m.2는 형태에 대한 구분이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분이 아닙니다.
m.2라도 sata방식의 ssd가 있고 이경우 속도차이는 차이가 없습니다.
예시로든 플렉스터의 경우에도 m6g m.2 모델은 사타 방식입니다.
m.2면서 빠른건 pci-e nvme방식의 ssd겠죠
Giantt
1. M.2 SSD가 SATA 방식 M.2 SSD와 혼동될수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Update를 통해서 부연설명해 두었습니다.
2. 플렉스터 M6G 모델은 본문에 쓴적이 없는데 왜 말씀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본문에서 테스트 비교대상에 사용된 모델은 플렉스터 M6E M.2 SSD 이며 PCI-E NVMe SSD 가 맞습니다.
http://shopping.naver.com/search/all.nhn?query=%ED%94%8C%EB%A0%89%EC%8A%A4%ED%84%B0+M6e+256GB&cat_id=&frm=NVSHATC
알고 계신것처럼 SATA방식 M.2 SSD vs 2.5인치 SATA SSD와 성능비교했다면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성능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Ralph
정확하게 읽어봐도,
최초에 글 작성시에, NVMe 방식 SSD와 아닌 SSD의 비교라고 하셨으면 안 생길 오해인데요.
처음엔 m2 슬롯용 SSD 이야기 했다가, 글 말미에 혼돈이 될수도 있다네요..라고 적으신게 더 어색합니다.
혼돈이 될 수 있는게 아니고, 처음부터 잘못 적으신거죠.
스카이레이크 나오기 전의 마더보드들도 M.2슬롯이 있는 모델들이 있었는데, NVMe를 지원 못하는거 뿐이지, 거기에 맞는 SSD들도 M.2 규격인건 맞거든요
-
부연설명 전엔 충분히 혼동할만한 여지가 있는 글인데요.
물론 전 윗 댓글 작성자가 아닙니다
Giantt
네. 혼동이 있을수 있다는 부분은 타당한 내용이기 때문에 Update 내용을 더해 보다 명확하게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나도지나가다
위 작성자처럼 보입니다.
"정말 거기서 거기?"란 제목글에 혹해서 읽고 가는 나그네입니다
전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지만 글을 쭉~ 읽어보니, 댓글 다신 분이 기사 쓴 분 보다 훨씬 더 믿음이 가고 전문가 다워 보이네요. 잘 봤습니다. 덕분에 M.2 SSD에 대한 좋은 정보 잘 얻고 갑니다. ^^
읽고갑니다
기사 타이틀이 NVMe SSD vs. SATA SSD 로 수정되면 좋을 듯합니다.
익명
좋은 글 감사 ~ ^^
Giantt
네.. 감사합니다. ^^
익명
m.2 규격에 대한 설명을 먼저하셔야지요.
m.2 sata와 m.2 nvme은 아예 가격대도 틀리고 방식도 완전 틀린데..
잘 모르는 분이 보면 m.2가 무조건 sata3 방식보다 빠르다고 생각하겠네요
m.2 sata 방식은 주로쓰는 sata3 ssd랑 속도차이 없습니다.
m.2 nvme는 m.2 sata랑 가격대 자체가 틀려요.
아쉽네요
2년전 글인데 아직까지 댓글로 딴지냐라고 생각되실지 모르겠지만 저도 M2와 일반적인SSD는 속도에 차이가 있는건가라고 검색하다가 이글보고 그래도 M2가 빠르네 생각했다가
마지막 댓글보고 뭐가 잘못됬는지 이해가 됬습니다.
본문에 업데이트라고 정정글을 추가하셧지만 어찌된건지 저는 댓글보고나서야 써있단걸 알게 됬네요 내가 보고싶은 부분만 찾아보느라 못봤을 수도 있겠죠..
제목만 수정하셧으면 더 없이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Giantt
남겨주신 의견 잘 읽었습니다. ^^ 향후에는 말씀해주신 부분에 좀 더 신경써서 포스팅 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익명
어느쪽이 더 낫다는건지….ㅠ 에휴… 컴은 늘 어려워 복잡스럽고…
namo
“M.2 SSD vs SATA SSD” 제목보고 의아 했는데, 댓글보고 무슨 실험인지 알았네요.
제목부터 바꿔야 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