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경제 분야를 삼성이 이끌고 있다는 사실을 그 깊이는 모르더라도 대부분 인정하고 있을것입니다.
그만큼 삼성이 대한민국의 경제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정도 수준일까요?
오늘은 한국 경제를 이끄는 기업인 삼성과 현대차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Key 1 ▶ 순이익 비중 40.9%를 차지하는 삼성은 잘해야만 한다.
한국거래소에서 12월 결산기업 501개를 분석한 결과 대한민국 경제의 비중에서 삼성과 현대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극명하게 드러났습니다.
상반기 501개 기업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삼성을 제외하고 보면 매출은 증가세가 거의 없이 멈춰진 상황이며 영업이익은 약 3.5% 감소했다고 합니다.
늘 예외상황이 되는 삼성의 경우, 상반기 매출은 110조 3325억원이며 영업이익은 18조 3101억원이라고 합니다. 법인세를 차감한 당기순이익에서 501개 기업 전체 순이익의 무려 40.9%가 삼성전자 단 1개 기업이 차지했다는 것입니다.
순이익 기준으로 2위는 현대차가 차지했으며 비중은 12.7% 입니다. 삼성전자와 현대차 단 2개 기업의 매출이 전체 501개 상장기업의 순이익의 절반이 넘는것입니다.
그런데 삼성전자 매출의 약 70~75%가량은 스마트폰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정리해 보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비지니스에 문제가 생긴다면 전체 대한민국 경제상황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새롭게 차세대 제품들로 내놓고 있는 갤럭시노트3 , 갤럭시 기어 , 갤럭시 라운드등을 지켜보면서 개인적으로는 우려스러운면이 많은 상황입니다.
핀란드의 국민기업이라는 노키아 , 캐나다 대표 IT 기업 블랙베리 , 미국의 전통있는 통신기업 모토롤라 , 대만의 대표 스마트폰 기업인 HTC 등등 한때 모두 세계 1위를 노리던 대표적인 기업들의 현재 상황을 본다면 삼성전자도 결코 안주하고 안심할수 있는 상황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가 경제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한다면 스마트폰 비지니스를 잘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 GIANTT : SW 분야에 대한 비중을 최대한 빠른시간내에 높일수 있는지가 관건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워드프레스 테마 오픈마켓 테마포레스트- Theme forest
- 워드프레스 추천테마 관련 포스트 - AVADA / JARIDA / SAHIFA / GOODNEWS